[작성자:] 강력맨

  • 연봉제 월급제 시급제 차이 장점과 단점! 임금제도 종류 특정 비교 정리

    연봉제 월급제 시급제 차이 장점과 단점! 임금제도 종류 특정 비교 정리

    연봉제 월급제 시급제

    많은 청년들이 취업하기 전에 아르바이트를 하게 된다. 아르바이트는 보통 시급제인데 회사에 취직을 하게 되면 시급제가 아닌 연봉제나 월급제로 급여를 받게 된다. 취업을 해본 경험이 없다면 연봉제 월급제 시급제가 어떤 차이가 있고 장단점은 뭔지 헷갈릴 것이다. 이 포스트에서 각 임금제도의 종류와 특징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연봉제 장단점 특징

    연봉제란?

    연봉제근로자의 능력 및 실적 평가에 따라 1년 단위로 급여를 결정하는 제도다. 따라서 매년 개인별로 차등 지급된다. 연봉제의 장점은 회사는 성과주의로 사람을 관리할 수 있고, 직장인은 능력이 뛰어나면 많은 급여를 받을 수 있다.

    물론 반대로 본인의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면 급여가 올라가지 않게 되고 이는 입사 동기와 능력 비교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연봉제는 경쟁을 야기하고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능력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기준을 만들기 어렵다.


    월급제 장단점 특징

    월급제란?

    월급제월 단위로 고정급여를 지급하는 제도다. 급여의 변동이 없기 때문에 직장인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급여 관리가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회사의 입장에서 직원들이 게을러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직장인이 회사에 지각을 하면 실질적으로 일하는 시간은 줄어들지만, 그렇다고 월급이 줄어들진 않는다. 반대로 야근을 하는 식으로 초과 노동을 하면 회사는 초과 노동에 대해 수당을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월급은 기본적으로 직장인에게 유리한 임금제도다(회사가 법을 지킨다면 말이다).

    다만 고정급여를 선택할 경우 경기 변동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경기가 상승할 경우 매출은 증가하는 반면 인건비는 고정비라 회사는 이득을 보고 직장인은 상대적으로 손해를 보게 된다. 반대로 경기가 하락할 경우 매출이 감소하는 대신 인건비는 고정비라 회사는 손해를 보고 직원은 상대적으로 이득을 보게 된다.

    따라서 직장인이라면 가능한 경기가 좋을 때 고정급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시급제 장단점 특징

    시급제란?

    마지막으로 시급제노동 시간에 대해 급여를 계산하는 급여체계다. 아르바이트를 해봤다면 가장 친숙한 방식일 것이다. 예를 들어 시급이 9,600원인 햄버거 가게에 7시간 일하면 9,600 x 7 = 67,200원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일한 만큼 돈을 받기 때문에 공정한 급여체계지만 직장인의 입장에서 수입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대부분의 회사는 시급제를 채택하고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추측된다. 첫째, 단순노동의 경우 시간을 통해 업무량을 측정할 수 있지만 회사에서는 주어진 시간만큼 성과가 나타나는 단순노동을 하는 것이 아니다. 둘째, 우리나라는 업무시간이 많기로 악명 높다. 회사에서 시급제를 채택하면 월급이나 연봉제 보다 더 큰 지출로 효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연봉제 월급제 시급제 뭐가 좋을까?

    임금제도

    사실 직장인에게 유리한 급여체계는 없다. 왜냐하면 임금제도를 선택하는 것은 회사이고 회사는 손해 볼 행동을 하지 않는다. 안 그러면 망하기 때문이다. 회사는 고정적으로 일하는 직원이 많기 때문에 인건비 관리 차원에서 월급제나 연봉제로 급여를 고정해 놓을 필요가 있고, 자영업자는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시급제로 아르바이트를 관리해야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결국, 자신의 업무가 단순노동이라면 시급을 받는 것이 양자(회사와 직장인) 모두 좋고, 복잡노동이라면 성과에 따른 연봉제를 선택하는 것이 양자 모두 좋다.


    추천 포스트

    경제적 자유 6단계 로드맵
    링크: https://k-man.kr/1216

  • 아이언맨1 줄거리 요약 결말 평점(Iron Man, 2008)

    아이언맨1 줄거리 요약 결말 평점(Iron Man, 2008)

    아이언맨1 줄거리 결말

    아이언맨1(Iron Man, 2008)은 마블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첫 번째 영화로 마블 영화 입문자라면 꼭 봐야할 영화다. 아이언맨의 탄생에 다루고 있으며 후에 제작될 어벤져스 세계관을 위해 미리 떡밥을 뿌리기도 한다. 자 그럼 아이언맨 줄거리 요약과 결말, 그리고 평점까지 살펴보겠다.


    아이언맨1 기본정보 예고편

    개봉: 2008.04.30
    장르: SF, 액션, 드라마, 판타지
    국가: 미국
    러닝타임: 125분
    네이버 평점: 8.93
    관객수: 430만명


    아이언맨1 줄거리: 아이언맨의 탄생 배경

    아이언맨1 줄거리

    무기를 제조하는 스타크 인더스트리의 CEO이자 천재인 토니 스타크(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Robert Downey Jr.)는 신무기 제리코를 소개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갔다가 테러리스트 텐링즈에게 기습공격을 받고 납치된다. 이 과정에서 토니는 자신의 회사에서 만든 미사일 파편이 가슴에 박히게 된다.

    텐링즈에 붙잡혀 있던 인센은 토니의 심장으로 파고드는 파편을 막기 위해 가슴에 전자석을 심는 수술을 하게 된다. 수술은 무사히 끝났지만 파편이 계속 심장에 파고들기 때문에 일주일 뒤 사망하게 된다는 진단을 받게 된다.

    거기에 더해 텐링즈는 토니에게 제리코 미사일을 제작하라는 협박을 받게 된다.

    아이언맨1 줄거리

    토니와 인센은 제리코 미사일을 만드는 척하면서 텐링즈로부터 탈출할 준비를 한다. 일단 일주일 남은 수명을 해결하기 위해 아크 원자로를 만들어 가슴에 박고 이를 동력으로 하는 수트 마크1을 제작한다.

    아이언맨1 마크1

    마크1을 통해 토니는 텐링즈로부터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토니는 일을 계기로 자신이 만든 무기가 평화를 지키는 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악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무기 사업에 손을 떼고 주도적인 판단하에 평화를 지킬 수 있는 아이언맨 수트를 만들기 시작한다.

    아이언맨1 마크3

    여러 실험과 시행착오 끝에 토니는 아이어맨 수트라고 말할 수 있는 마크3를 개발하게 된다. 그리고 텐링즈와 무기고를 박살 내는데 성공한다. 여기까지가 아이언맨의 탄생과 성장 배경에 관한 이야기다.


    아이언맨1 빌런: 아이언 몽거

    아이언맨 빌런 아이언 몽거

    한편 토니의 동업자인 오베디아 스텐(제프 브리지스, Jeffrey Leon Bridges)텐링즈에게 스타크 인더스트리의 무기를 팔며 토니를 납치시키도록 지시한 배후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오베디아는 텐링즈가 입수한 마크1 수트와 설계도를 뺏어 아이언 몽거를 만들지만, 가장 중요한 아크 원자로를 만들 수는 없었다.

    토니는 예전부터 오베디아를 수상하게 여겼고, 비서인 페퍼 포츠(기네스 팰트로, Gwyneth Paltrow)에게 부탁해 무기 거래 목록을 해킹하도록 부탁한다.

    오베디아의 배신

    페퍼는 오베디아의 컴퓨터를 해킹하는데 성공하지만 이 사실을 눈치챈 오베디아는 작정하고 토니를 찾아가 마비시킨다음 가슴에서 아크 원자로를 뽑아가는데…

    아크 원자로 획득

    다행히 구형 아크 원자로를 페퍼가 보관해두었고 위기의 순간 평소에는 말을 듣지 않던 로봇 팔이 토니에게 아크 원자로를 건네주게 된다. 토니는 에너지가 부족한 원자로를 가슴에 끼우고 아이언 몽거의 타겟이 된 페퍼를 구하기 위해 출동한다.


    아이언맨1 결말

    아이언 몽거

    힘과 성능으로는 아이언 몽거를 이길 수 없었던 토니는 높이 날아오른다. 토니는 여러 실험 끝에 높은 고도에서 수트가 얼어붙는 결빙 문제를 해결했으나 아이언 몽거는 해결하지 못했고 결국 수트가 얼어붙고 추락한다. 하지만 끝까지 살아남아 토니를 추격하는 아이언 몽거.

    토니는 최후의 수단으로 페퍼에게 회사의 대형 아크 원자로를 과부하 시킬 것을 부탁한다. 대형 아크 원자로가 과부하 되면서 토니는 옥상 구석으로 튕겨 살았고, 수트가 열려 있던 오베디아는 아크 원자로의 에너지를 정면으로 맞게 되면서 사망한다.

    아이엠 아이언맨!

    I am Iron Man!

    다음날 기자회견에서 토니는 스스로 아이언맨임을 밝히고 영화는 끝난다.


    아이언맨1 쿠키영상 및 MCU 떡밥

    쉴드의 콜슨 요원

    아이언맨1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해 제작된 영화다. 그래서 영화에서는 아이언맨의 탄생과 성장 스토리뿐만 아니라 어벤져스에 대한 떡밥이 중간중간 등장한다. 예를 들면 쉴드 요원인 콜슨이 등장하고,

    쉴드 닉퓨리

    나는 아이언맨이다? 세상에 슈퍼 히어로가 너 하나 뿐인거 같아?

    아이언맨1 쿠키영상을 보면 쉴드의 국장 닉퓨리(사무엘 잭슨, Samuel L. Jackson)가 등장한다. 그리고 토니에게 슈퍼 히어로로 구성된 팀이 있음을 언급한다.


    아이언맨1 한줄평

    아이언맨 1

    ★★★ 3.0
    마블 스튜디오 전설의 시작!

    지금이야 워낙 유명하고 인기 있는 캐릭터이지만, 아이언맨1 개봉 당시에는 크게 재미있다고 생각되진 않았지만, 충분히 몰입해서 봤다. 볼만한 영화다. 영화를 보면서 유일하게 아쉬운 것이 있었는데 바로 페퍼 포츠 역할을 맡은 기네스 펠트로가 너무 야위여 보였다는 것 정도다. 마블 스튜디오의 시작이니 마블 입문자라면 꼭 봐야 한다.


    추천 포스트

    마블 영화 보는 순서
    링크: https://k-man.kr/마블-영화-순서


    5분 콘텐츠 by 박강력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시면
    재미있는 영상 콘텐츠 줄거리 요약&명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5.__content

  • 파이어족 · 경제적 자유 6단계 로드맵! 어차피 평생 일할 수는 없다.

    파이어족 · 경제적 자유 6단계 로드맵! 어차피 평생 일할 수는 없다.

    경제적 자유 6단계 로드맵

    파이어족은 내 인생의 첫 번째이자 최우선적으로 달성해야 할 목적이다. 소개 페이지에도 분명히 밝혔듯 이 블로그 또한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해 운영하는 것이다. 나와 같이 파이어족을 꿈꾸는 사람들을 위해 내가 직접 실천하고 있는 파이어족 · 경제적 자유 6단계 로드맵을 제시하겠다. 그러니 당신도 이 글을 읽고 파이어족이 될 결심을 해라!


    파이어족·경제적 자유의 목적

    파이어족의 목적

    파이어족의 목적은 부자가 아니라 자유다!

    가끔 서점에서 부동산 투자와 파이어를 연결시키는 책을 보면 어이가 없다. 파이어와 경제적 자유에 대한 이해 없이 그냥 유행하니까 책을 팔기 위해 쓰는 느낌이다. 아직도 파이어족은 부자나 자산가라는 오해가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

    파이어족의 목표는 부자가 아니다. 따라서 자산의 증식보단 현금흐름에 더 관심이 있다. 무엇보다 파이어족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자유와 시간이다. 한정된 시간 동안 하기 싫은 일을 하는 것보단 하고 싶은 것을 해야 한다는 마음이 더 크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를 현실적으로 달성하려면 매월 생활하는 돈 보다 더 많은 돈이 ‘일하지 않고’ 발생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 즉 불로소득의 창출이 모든 파이어족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어차피 우리는 평생직장을 다닐 수 없다. 공식적인 은퇴 연령은 65세이지만, 보통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린다. 따라서 파이어족이 아니더라도 모든 사람은 죽기 전까지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파이어족은 조금 더 일찍 준비할 뿐이다.


    경제적 자유 6단계 로드맵

    파이어족 6단계 로드맵

    1단계: 일 하지 않을 결심
    대부분의 사람이 말로는 일하기 싫어한다고 말하고 SNS에는 월요병에 대한 밈이 돌아다닌다. 하지만 일을 하지 않기 위해 진지하게 불로소득을 만들어 가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파이어족이 되고 싶다면 일 하지 않을 결심을 해야 한다.


    2단계: 가계부 쓰기(지출확정)
    가계부를 쓰는 이유는 지출을 확정하기 위해서다. 지출을 확정해야 내가 월 얼마의 불로소득을 만들어야 하는지 계산이 나온다. 예를 들어 월 평균 200만 원을 지출한다면 저축할 돈까지 계산해 월 250만 원의 불로소득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으면 된다.

    나는 월 300만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3단계: 절약과 저축, 그리고 독서
    보통 사람들은 버는 만큼 쓴다. 200만 원을 벌면 200만 원을 쓰고, 300만 원을 벌면 300만 원을 쓴다. 물론 신용카드를 이용해 버는 것보다 더 많이 쓰는 경우도 있다.

    파이어족이 되기 위해선 지출을 통제하고, 소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한 돈을 모아야 한다. 절약과 저축이 필수다. 그 과정에서 행복도 추구해야 한다. 즉 상대적으로 불만족스럽거나 행복을 주는 기간이 짧은 소비를 줄이는 게 핵심이다.

    한편 독서에 돈과 시간을 써야 한다. 기본적으로 100권 읽기를 추천한다. 나는 작년에 103권을 읽었다. 이는 다음 과정을 위한 것이다.


    4단계: 소득 증가
    사업을 하거나 투자를 하거나, 콘텐츠를 제작해 광고 수익을 증가시켜야 한다. 물론 하루아침에 소득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므로 여기에는 많은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가능하면 3단계에서 사업이나 투자에 사용할 돈을 모으면서 책도 읽어야 한다.

    그러나 실패가 없는 사업과 투자는 없기 때문에 개인적으론 6개월 적금이 끝나면 투자하고, 결과에 상관없이 다시 6개월 적금을 모으는 식으로 저축과 투자를 병행하는 것이 현명하다.


    5단계: 가속하기(늘어난 소득만큼 일하는 시간 줄이기)
    늘어난 소득만큼 소비를 하거나 일을 하면서 돈을 더 많이 벌겠다는 생각은 권장되지 않는다.

    늘어난 소득만큼 일하는 시간을 줄이면, 더 소득을 늘리는데 투자할 수 있다. 그러면 똑같은 돈을 벌면서 더 많은 책을 읽고, 사업이나 투자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할 수 있다. 더 효율적이고 소득의 증가 속도가 가속 될 것이다.


    6단계: 일하지 않아도 되는 삶
    이제 하기 싫은 근로소득자로부터 해방되었다. 그러나 사람은 일을 완전히 안 하고 살 수는 없다. 결국엔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찾아야 한다.

    나는 일하기 싫었던 이유가 타인과의 일하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온전히 나를 위한 일이 아니라는 사실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나를 위해 일하는데 시간을 쓰는 것은 아깝지 않았다. 이제부터 그런 일을 하나씩 만들어가면 된다. 동기부여를 위해 미리 일하지 않아도 되는 삶에 대해 고민해 보는 것도 좋다. 일하지 않으면 남은 시간 동안 난 무엇을 할 것인가?


    20대부터 준비하면 40대엔 은퇴각

    물론 말처럼 쉽지는 않다.

    나는 고등학생 때부터 파이어족을 꿈꿨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구체적으로 계획을 잡고 확신하기까지 16년이 걸렸다. 그동안 사업도 실패했고 블로그도 폐쇄되는 등 여러 가지 일이 있었지만, 지금은 투자로 매월 돈을 벌고 있다. 아직까지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앞으로 5년 동안은 더 일을 할 생각이다. 하지만 현재 이룬 성과를 유지하면서 가속한다면 아마 40대에는 더 이상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 어렵지만 불가능하진 않다는 말을 해주고 싶다.

    하루빨리 시작할수록 하루빨리 은퇴할 수 있다. 일하지 않는 삶에 하루 빨리 도달하라!


    추천 포스트

    파이어족 뜻? 돈과 일에 자유로운 삶!
    링크: https://k-man.kr/186

    https://k-man.kr/186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 정보 by 박강력

    정부 창업 지원금 컨설팅
    종목 추천 & 주식 강의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컨설팅 www.박강력.com
    인스타그램 @a.____park
    이메일 active-park@naver.com

  •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뱅 세이프 박스 이자 및 한도 얼마일지 계산해 보자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뱅 세이프 박스 이자 및 한도 얼마일지 계산해 보자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뱅 세이프 박스

    카카오뱅크의 메인은 26주 적금이다. 하지만 그 외에도 일반적인 은행에서 기대할 수 없는 재미있는 저축 상품들을 많이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카카오뱅크 저금통카뱅 세이프 박스가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저금통과 세이프 박스는 어떤 상품인지 이해하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저축 전략을 짜보겠다.


    카카오뱅크 저금통 이자 및 한도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카오뱅크 저금통은 예금이나 적금처럼 계획적으로 이체시키는 상품이 아니라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을 쓰다가 1,000원 미만의 잔돈이 남으면 인공지능(?)이 알아서 저축해는 상품이다. 소액을 모아 용돈으로 만드는 저축 상품으로 이해하면 된다.

    예적금처럼 만기가 있어 해지가 되는 게 아니라 언제든 찾을 수 있고 계속 저축을 위해 활용할 수도 있다.

    특이한 점은 저축금액이 표시되는 대신 금액에 해당하는 이모티콘(국물 떡볶이)이 나온다. 재미있지는 않고 금액이 안 보여 그저 불편할 뿐.. 저금통을 아래로 스와이프하면 정확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뱅 저금통을 100% 활용하려면 저축 규칙 두 가지를 잘 이해해야 한다.

    첫째, 동전 모으기 규칙은 매일 밤 12시에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에 잔돈이 있으면 다음날 저금통으로 저축하는 규칙이다. 예를 들어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에 2,500원이 남아 있으면 다음날 500원이 저금통으로 이체되는 식이다. 단, 입출금 계좌에 잔액이 1,000원 미만인 경우 동전 모으기는 일어나지 않는다.

    둘째, 자동 모으기 규칙은 입출금 내역을 분석하여 1,000~5,000원을 매주 토요일에 저금통으로 저축하는 규칙이다. 단, 총 잔액이 10,000원 미만일 경우 자동 모으기는 일어나지 않는다.

    카뱅 저금통

    잔돈 모아봤자 얼마 하겠냐는 생각이 들지 모르나 이 글을 쓰는 기준 카카오뱅크 저금통 이자는 무려 연 10%(세전)로 매주 네번째 금요일 결산해서 토요일날 이자가 지급된다. 금리가 엄청 높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돈을 저축하는 게 좋다. 다만 한도가 10만 원이라는 점이 안타깝다.

    카카오뱅크 저금통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잔액이 천 원 이상, 천원 이하로는 999원이 되도록 매일 세팅을 해줘야 한다. 한 가지 노하우를 알려주자면 5,000원을 입출금 계좌에 입금한 뒷자리 순으로 3자리가 999원이 되도록 1원을 세이프 박스에 넣는 것이다. 그러면 그날 밤 잔액은 999원이 되고 다음날 저금통으로 저축이 된다.

    이런 식으로 매일 999원씩 저축되면 100일 뒤에는 99,900원의 원금이 모인다. 나는 현재 7,993원까지 모았다.


    카뱅 세이프 박스 이자 및 한도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는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지급하는 CMA 통장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을 쓰는 현재 기준으로 연 3.5% 이자를 제공하는 CMA 계좌는 많으므로, 연 2.6% 이자를 지급하는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는 경쟁력이 없다.

    다만,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을 하거나 저금통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입출금 계좌에 돈을 1~2일 예치해놓기만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때 활용하면 좋다.

    카뱅 세이프박스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를 쓰면서 느낀 가장 큰 장점은 입출금이 편하다는 것이다. 스와이프 업다운으로 보관할 금액과 이체할 금액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저금통에 들어갈 999원을 맞추기 위해 다른 은행으로 이체시켜야 한다면 귀찮아서 매일매일 하지 못했을 것이다.

    최소한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를 이용하면 비밀번호를 입력할 시간을 단축시켜준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카뱅 저금통과 세이프박스를 소개했다. 저금통은 이자가 제일 높긴 하지만 한도가 낮아서 큰 메리트는 없다. 세이프박스는 이자 자체가 낮다. 거듭 말하지만 카카오뱅크는 26주 적금이 메인이다. 그러나 26주 적금을 하면서 심심함을 달래기에 저금통 + 세이브박스 조합을 이용한다면 나쁠 것이 없다.


    추천 포스트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링크: https://k-man.kr/968

    예금 풍차 돌리기 방법
    링크: https://k-man.kr/783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 정보 by 박강력


    정부 창업 지원금 컨설팅
    종목 추천 & 주식 강의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컨설팅 www.박강력.com
    인스타그램 @a.____park
    이메일 active-park@naver.com

  •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이자 계산, 카뱅 풍차 돌리기 방법 알아보자!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이자 계산, 카뱅 풍차 돌리기 방법 알아보자!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기준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저축의 시대에 카카오 뱅크 저축 상품 중 26주 적금이 인기다. 기존의 적금과 달리 주 단위로 저축할 수 있으며 1,000원이라는 소액부터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연 7%에 달하는 놀라운 금리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의 적금과 달리 주 단위로 불입해서 이자 계산이 어렵기 때문에 이번 포스트에서 이자 계산과 더불어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상품 소개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상품의 특징은 세 가지다.

    첫째, 매주 불입하고 만기는 26주 뒤다. 대략 6개월이 걸린다. 둘째, 가입 금액은 1,000원, 2,000원, 3,000원, 5,000원, 10,000원으로 정해져 있다. 셋째, 매주 불입해야 할 금액이 가입 금액만큼 증액된다. 그러니까 가입 금액을 1,000원으로 시작했으면 다음주에는 2,000원 다다음주에는 3,000원을 불입하고 마지막 26주 뒤에는 26,000원을 불입해야 한다. 가입 금액을 1,000원으로 시작했을 경우 만기일에 원금 351,000원이 모이고 이자는 3,872원으로 예상된다.

    왜 351,000원의 7%인 24,570원이 이자가 아니라 고작 3,872원이 이자냐고 묻는다면 여기에는 3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계좌에 예치된 기간만큼 이자를 지급하는데 적금의 경우 매월 또는 매주 불입하다면 이자를 받는 기간이 예금에 비해 짧아진다. 그래서 적금은 원금을 기준으로 연 금리를 적용해 계산하면 안 맞다(아래 링크 ‘예금과 적금의 차이’ 포스트에 설명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둘째,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의 금리는 연 7%다. 즉 일 년을 기준으로 7%란 얘기인데, 26주면 대략 6개월만 예치했으니 연 금리의 반만 받는다고 잘라 생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세금까지 제외해야 한다.

    예금과 적금 차이!
    링크: https://k-man.kr/641

    https://k-man.kr/641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이자 계산하기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이자

    가입 금액 1,000원: 만기일에 원금 351,000원이 모이고 이자 3,872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2,000원: 만기일에 원금 702,000원이 모이고 이자 7,743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3,000원: 만기일에 원금 1,053,000원이 모이고 이자 11,615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5,000원: 만기일에 원금 1,755,000원이 모이고 이자 19,538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10,000원: 만기일에 원금 3,510,000원이 모이고 이자 38,717원을 받는다.

    연 7% 기준이다. 엑셀을 이용해 직접 계산했기 때문에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다면 실제 이자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봐주길 바란다.


    카뱅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풍차 돌리기는 매월 예금이나 적금에 가입하면 2년차부터 매월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데 그 원금을 다시 동일한 예적금에 가입하면 매월 일정한 현금흐름이 발생한다는 논리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은 가입 금액이 정해져 있고 매주 불입하기 때문에 기존의 적금 풍차 돌리기의 남극성 이론(월적수나 선납 이연 등)을 적용할 수 없다.

    대신 매주 적금 계좌를 개설할 경우 총 얼마를 저축해야하는지 계산해 보고 6개월로 나누면 월평균 저축금액을 구할 수 있다.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매주 1,000원씩 불입하는 적금 계좌를 만들어 간다면 총 26개의 적금을 만들게 되고 52주까지 불입하게 된다. 그러면 1년 동안 총 8,173,000원을 불입해야 하지만, 사실 8,173,000원을 모두 불입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27주부터 매주 만기 원금 351,000원과 이자 3,870원이 나오기 때문이다. 27주에 받는 만기 원금 +이자에 불입해야 하는 349,000원을 빼도 돈이 남는다.

    다시 말해 27주 이후부터는 적금을 불입하지 않아도 만기로 받는 돈으로 낼 수 있다. 여기서 또다시 2,000원 적금 계좌를 개설해서 기존 원금에 새로운 원금을 추가하는 식으로 저축을 이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결론적으로 우리가 알아야 할 금액은 26주까지 불입할 금액이다. 가입 금액을 1,000원으로 풍차 돌리기를 할 경우 6개월간 저축해야 할 금액은 3,251,000원이다. 이를 6으로 나누면 월 541,833원이다. 월 541,833원을 저축한다고 생각하고 카카오 뱅크에 이체시켜 놓으면 문제 없이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를 할 수 있다.

    자 이렇게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과 월 불입액까지 계산해 보았다. 직접 계산하는 과정에 실수나 오타가 있으면 계산이 틀릴 수 있다는 점 유념해서 계획 잘 세워보길 바란다. 그럼 다들 저축 잘해서 저축 덕후 되길 바란다.


    추천 포스트

    예금 풍차 돌리기 방법
    링크: https://k-man.kr/783

    남극성 이론
    링크: https://k-man.kr/846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 정보 by 박강력

    정부 창업 지원금 컨설팅
    종목 추천 & 주식 강의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컨설팅 www.박강력.com
    인스타그램 @a.____park
    이메일 active-park@naver.com

  • 풍차 돌리기 적금 방법(feat. 남극성 이론) 이자 소득 극대화!

    풍차 돌리기 적금 방법(feat. 남극성 이론) 이자 소득 극대화!

    적금 풍차돌리기

    풍차 돌리기 적금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남극성 이론에 대해 먼저 설명하는 게 옳은 것 같다. 남극성은 북극성의 대칭에 존재하는 항성이 아닌 사람(필명인지 본명인지 모르겠다)이름으로 2012년 <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는 저서를 통해 이자 소득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남극성 이론을 소개한 인물이다.

    출간 이후 많은 재테크 강사들이 그의 이론을 베껴 TV에 소개하는 바람에 지금은 풍차 돌리기로 유명해졌고 많은 블로거들이 베끼고 베껴 잘못된 이론이 전파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자는 다음 책에 그 분노를 쏟아 내면서 남극성 이론으로 불러달라는 바램을 말했다. 진실을 아는 나라도 제대로 된 용어를 언급하는 것이 도리라 생각되어 미리 이렇게 구구절절 설명하게 되었다.


    잘못된 풍차 돌리기 적금

    잘못된 풍차 돌리기 적금

    인터넷에 떠도는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을 보면 매월 적금에 가입한다고 되어 있다. 예금은 한 번에 돈을 예치하므로 매월 가입해도 생활에 큰 무리는 없지만 적금은 매월 예치하는 상품이다. 아무 생각 없이 매월 적금에 가입할수록 매월 저축으로 빠져나가는 돈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달에 적금 1을 개설하고 10만 원을 예치해야 한다. 두 번째 달에는 적금 2를 개설하고 적금 1과 적금 2에 각각 10만 원씩 총 20만 원을 예치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월 예치금이 커지다가 마지막 달에는 총 120만 원을 예치해야한다.

    저축의 관점에서 절대로 지속 가능한 방법이 아니다. 대부분은 중간에 포기를 하고 적금을 해지한다. 그러면 은행은 이자를 적게 줘도 되므로 은행만 좋은 일이다. 재미있게도 이 잘 못된 방법을 은행 블로그에도 권하는데, 왜일까.. ^^


    남극성의 풍차 돌리기 적금

    월적수

    만약 매월 적금을 개설할 경우 1년 동안 총 78번 예치하게 된다. 또는 월 불익앱이 계좌에 보관되고 있는 시간(78개월)이기도 하다. 이를 월적수라고 한다. 월적수를 이용하면 적금으로 풍차 돌리기를 할 때 계산이 쉬워진다. 예를 들어 매월 10만 원씩 적축하고 싶다고 하면 1년이면 120만 원이다. 이 120만 원을 월적수인 78로 나누면 월 불입액은 15,384원이라는 계산이 된다.

    적금 풍차 돌리기

    제대로 된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은 월 불입액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매월 적금에 가입하는 것이다.

    방법은 위와 같다. 처음에 적금 1에 15,384원을 넣으면 84,616원이 남는데 이 돈을 CMA에 보관해둔다. 두 번째 달에는 적금 1에 15,384원, 적금 2에 15,384원을 넣고 남은 69,232원은 CMA에 보관한다. 매월 적금이 늘어나므로 어느 순간 월 불입액이 10만 원을 넘어가게 된다. 그때 모자라는 돈을 CMA에서 꺼내 적금에 넣으면 동일한 금액의 월 불입액을 유지할 수 있다. 깔끔하다.


    이렇게 계산이 복잡한 적금 풍차 돌리기를 해야 할까?

    예금 풍차 돌리기

    이렇게 계산이 복잡하고 어려운데 적금 풍차 돌리기를 해야 할까? 남극성 이론에서 적금 풍차 돌리기가 권장된다. 이유는 적금 풍차 돌리기를 할수록 이자가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왜 그런지 계산해 보자.

    원금 12만 원으로 매월 단리 4% 예금에 가입하면서 예금 풍차 돌리기를 하면 2년 차부터는 매월 원금 12만 원과 4,061원의 세후 이자를 받을 수 있다. 12를 곱하면 2년 차에 받는 이자는 총 48,732원이다.

    적금 풍차 돌리기

    반면 적금 풍차 돌리기의 상황을 보자. 매월 총 불입액을 12만 원이라고 치면 일 년 동안 총 1,440,000원의 원금을 모을 수 있다. 이를 월적수 78로 나누면 적금 하나에 불입해야 하는 월 불입액은 18,461원이 된다. 매월 18,461원을 예치하면 만기일에 받게 되는 원금이 221,532원이고 이자는 4,061원이다(보통 적금 금리가 높지만 비교를 하기 위해 동일하게 적용했다).

    분명 1년 동안 예금과 적금 똑같은 금액을 예치하고 풍차를 돌렸는데 만기일에 받는 원금은 2배 차이가 나게 되다니! 어떤 마법을 쓴 것일까? 월적수로 나눈 월 불입액 18,451원에 12(12개월)로 곱하고 거기에 또 12(12계좌)를 곱하면 총 2,658,384원이다. 그 말은 곧 적금을 유지하려면 2년 차에 추가로 적금을 가입하지 않더라도 1,218,384원(2,658,384원 – 1년차 원금)을 더 내야 된다는 말인데, 실제로는 더 많은 돈을 낼 필요가 없다.

    적금 풍차 돌리기 2년 1회차

    2년 차부터 12개의 계좌에 모두 적금을 넣어야 하기 때문에 월 불입액이 총 240,617원( 37,546 + 18,461 x 11 )이다. 이때 적금 1이 만기가 끝나 세후 이자 포함 225,593원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 돈과 월 불입 12만 원을 계속하면 월 불입액을 내고도 남는데 이 돈은 CMA에 보관해뒀다가 다시 월 불입액이 만기 원금+이자+월 저축보다 커지면 꺼내는 식으로 돈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게 남극성 이론의 핵심이다.

    참고로 여기서 2년차 1회에 새로만든 적금 1의 불입액이 37,547원이란 계산이 나온 이유는 다음과 같다. 1년차 원금 1,439,958원과 + 2년차 이자 48,732원 + 2년차 원금 1,439,958원을 모두 더한 값 2,928,648원을 월적수 78로 나누면 37,546원이 된다.


    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

    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 남극성의 <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를 읽을 때도 어렵고 이해가 안 가서 일주일 동안 3번은 읽고 겨우 이해했는데, 막상 설명하려니 설명하면서도 진짜 어렵긴 하다. 원저자가 내 글을 읽고 탐탁지 않게 생각하면 다행이다. 내 글이 이해가 안 가더라도 직접 적금 풍차 돌리기를 실천하면서 블로그에 후기 글을 쓰다 보면 난해하게 느껴지는 다른 사람들도 이해가 가지 않을까 싶다.

    위에 설명한 적금 풍차 돌리기의 응용 버전이 책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수학에 자신이 있다면 꼭 읽어볼 것을 권한다.


    추천 포스트

    예금 풍차 돌리기
    링크: https://k-man.kr/783

    단리 복리 차이점
    링크: https://k-man.kr/699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 정보 by 박강력

    정부 창업 지원금 컨설팅
    종목 추천 & 주식 강의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컨설팅 www.박강력.com
    인스타그램 @a.____park
    이메일 active-park@naver.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