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저축상품 추천

금융상품 소개

  •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뱅 세이프 박스 이자 및 한도 얼마일지 계산해 보자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뱅 세이프 박스 이자 및 한도 얼마일지 계산해 보자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뱅 세이프 박스

    카카오뱅크의 메인은 26주 적금이다. 하지만 그 외에도 일반적인 은행에서 기대할 수 없는 재미있는 저축 상품들을 많이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카카오뱅크 저금통카뱅 세이프 박스가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저금통과 세이프 박스는 어떤 상품인지 이해하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저축 전략을 짜보겠다.


    카카오뱅크 저금통 이자 및 한도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카오뱅크 저금통은 예금이나 적금처럼 계획적으로 이체시키는 상품이 아니라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을 쓰다가 1,000원 미만의 잔돈이 남으면 인공지능(?)이 알아서 저축해는 상품이다. 소액을 모아 용돈으로 만드는 저축 상품으로 이해하면 된다.

    예적금처럼 만기가 있어 해지가 되는 게 아니라 언제든 찾을 수 있고 계속 저축을 위해 활용할 수도 있다.

    특이한 점은 저축금액이 표시되는 대신 금액에 해당하는 이모티콘(국물 떡볶이)이 나온다. 재미있지는 않고 금액이 안 보여 그저 불편할 뿐.. 저금통을 아래로 스와이프하면 정확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 저금통

    카뱅 저금통을 100% 활용하려면 저축 규칙 두 가지를 잘 이해해야 한다.

    첫째, 동전 모으기 규칙은 매일 밤 12시에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에 잔돈이 있으면 다음날 저금통으로 저축하는 규칙이다. 예를 들어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에 2,500원이 남아 있으면 다음날 500원이 저금통으로 이체되는 식이다. 단, 입출금 계좌에 잔액이 1,000원 미만인 경우 동전 모으기는 일어나지 않는다.

    둘째, 자동 모으기 규칙은 입출금 내역을 분석하여 1,000~5,000원을 매주 토요일에 저금통으로 저축하는 규칙이다. 단, 총 잔액이 10,000원 미만일 경우 자동 모으기는 일어나지 않는다.

    카뱅 저금통

    잔돈 모아봤자 얼마 하겠냐는 생각이 들지 모르나 이 글을 쓰는 기준 카카오뱅크 저금통 이자는 무려 연 10%(세전)로 매주 네번째 금요일 결산해서 토요일날 이자가 지급된다. 금리가 엄청 높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돈을 저축하는 게 좋다. 다만 한도가 10만 원이라는 점이 안타깝다.

    카카오뱅크 저금통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잔액이 천 원 이상, 천원 이하로는 999원이 되도록 매일 세팅을 해줘야 한다. 한 가지 노하우를 알려주자면 5,000원을 입출금 계좌에 입금한 뒷자리 순으로 3자리가 999원이 되도록 1원을 세이프 박스에 넣는 것이다. 그러면 그날 밤 잔액은 999원이 되고 다음날 저금통으로 저축이 된다.

    이런 식으로 매일 999원씩 저축되면 100일 뒤에는 99,900원의 원금이 모인다. 나는 현재 7,993원까지 모았다.


    카뱅 세이프 박스 이자 및 한도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는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지급하는 CMA 통장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을 쓰는 현재 기준으로 연 3.5% 이자를 제공하는 CMA 계좌는 많으므로, 연 2.6% 이자를 지급하는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는 경쟁력이 없다.

    다만,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을 하거나 저금통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입출금 계좌에 돈을 1~2일 예치해놓기만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때 활용하면 좋다.

    카뱅 세이프박스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를 쓰면서 느낀 가장 큰 장점은 입출금이 편하다는 것이다. 스와이프 업다운으로 보관할 금액과 이체할 금액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저금통에 들어갈 999원을 맞추기 위해 다른 은행으로 이체시켜야 한다면 귀찮아서 매일매일 하지 못했을 것이다.

    최소한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를 이용하면 비밀번호를 입력할 시간을 단축시켜준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카뱅 저금통과 세이프박스를 소개했다. 저금통은 이자가 제일 높긴 하지만 한도가 낮아서 큰 메리트는 없다. 세이프박스는 이자 자체가 낮다. 거듭 말하지만 카카오뱅크는 26주 적금이 메인이다. 그러나 26주 적금을 하면서 심심함을 달래기에 저금통 + 세이브박스 조합을 이용한다면 나쁠 것이 없다.


    추천 포스트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링크: https://k-man.kr/968

    예금 풍차 돌리기 방법
    링크: https://k-man.kr/783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 정보 by 박강력


    정부 창업 지원금 컨설팅
    종목 추천 & 주식 강의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컨설팅 www.박강력.com
    인스타그램 @a.____park
    이메일 active-park@naver.com

  •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이자 계산, 카뱅 풍차 돌리기 방법 알아보자!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이자 계산, 카뱅 풍차 돌리기 방법 알아보자!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기준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저축의 시대에 카카오 뱅크 저축 상품 중 26주 적금이 인기다. 기존의 적금과 달리 주 단위로 저축할 수 있으며 1,000원이라는 소액부터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연 7%에 달하는 놀라운 금리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의 적금과 달리 주 단위로 불입해서 이자 계산이 어렵기 때문에 이번 포스트에서 이자 계산과 더불어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상품 소개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상품의 특징은 세 가지다.

    첫째, 매주 불입하고 만기는 26주 뒤다. 대략 6개월이 걸린다. 둘째, 가입 금액은 1,000원, 2,000원, 3,000원, 5,000원, 10,000원으로 정해져 있다. 셋째, 매주 불입해야 할 금액이 가입 금액만큼 증액된다. 그러니까 가입 금액을 1,000원으로 시작했으면 다음주에는 2,000원 다다음주에는 3,000원을 불입하고 마지막 26주 뒤에는 26,000원을 불입해야 한다. 가입 금액을 1,000원으로 시작했을 경우 만기일에 원금 351,000원이 모이고 이자는 3,872원으로 예상된다.

    왜 351,000원의 7%인 24,570원이 이자가 아니라 고작 3,872원이 이자냐고 묻는다면 여기에는 3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계좌에 예치된 기간만큼 이자를 지급하는데 적금의 경우 매월 또는 매주 불입하다면 이자를 받는 기간이 예금에 비해 짧아진다. 그래서 적금은 원금을 기준으로 연 금리를 적용해 계산하면 안 맞다(아래 링크 ‘예금과 적금의 차이’ 포스트에 설명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둘째,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의 금리는 연 7%다. 즉 일 년을 기준으로 7%란 얘기인데, 26주면 대략 6개월만 예치했으니 연 금리의 반만 받는다고 잘라 생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세금까지 제외해야 한다.

    예금과 적금 차이!
    링크: https://k-man.kr/641

    https://k-man.kr/641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이자 계산하기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이자

    가입 금액 1,000원: 만기일에 원금 351,000원이 모이고 이자 3,872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2,000원: 만기일에 원금 702,000원이 모이고 이자 7,743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3,000원: 만기일에 원금 1,053,000원이 모이고 이자 11,615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5,000원: 만기일에 원금 1,755,000원이 모이고 이자 19,538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10,000원: 만기일에 원금 3,510,000원이 모이고 이자 38,717원을 받는다.

    연 7% 기준이다. 엑셀을 이용해 직접 계산했기 때문에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다면 실제 이자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봐주길 바란다.


    카뱅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풍차 돌리기는 매월 예금이나 적금에 가입하면 2년차부터 매월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데 그 원금을 다시 동일한 예적금에 가입하면 매월 일정한 현금흐름이 발생한다는 논리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은 가입 금액이 정해져 있고 매주 불입하기 때문에 기존의 적금 풍차 돌리기의 남극성 이론(월적수나 선납 이연 등)을 적용할 수 없다.

    대신 매주 적금 계좌를 개설할 경우 총 얼마를 저축해야하는지 계산해 보고 6개월로 나누면 월평균 저축금액을 구할 수 있다.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매주 1,000원씩 불입하는 적금 계좌를 만들어 간다면 총 26개의 적금을 만들게 되고 52주까지 불입하게 된다. 그러면 1년 동안 총 8,173,000원을 불입해야 하지만, 사실 8,173,000원을 모두 불입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27주부터 매주 만기 원금 351,000원과 이자 3,870원이 나오기 때문이다. 27주에 받는 만기 원금 +이자에 불입해야 하는 349,000원을 빼도 돈이 남는다.

    다시 말해 27주 이후부터는 적금을 불입하지 않아도 만기로 받는 돈으로 낼 수 있다. 여기서 또다시 2,000원 적금 계좌를 개설해서 기존 원금에 새로운 원금을 추가하는 식으로 저축을 이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결론적으로 우리가 알아야 할 금액은 26주까지 불입할 금액이다. 가입 금액을 1,000원으로 풍차 돌리기를 할 경우 6개월간 저축해야 할 금액은 3,251,000원이다. 이를 6으로 나누면 월 541,833원이다. 월 541,833원을 저축한다고 생각하고 카카오 뱅크에 이체시켜 놓으면 문제 없이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를 할 수 있다.

    자 이렇게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과 월 불입액까지 계산해 보았다. 직접 계산하는 과정에 실수나 오타가 있으면 계산이 틀릴 수 있다는 점 유념해서 계획 잘 세워보길 바란다. 그럼 다들 저축 잘해서 저축 덕후 되길 바란다.


    추천 포스트

    예금 풍차 돌리기 방법
    링크: https://k-man.kr/783

    남극성 이론
    링크: https://k-man.kr/846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 정보 by 박강력

    정부 창업 지원금 컨설팅
    종목 추천 & 주식 강의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컨설팅 www.박강력.com
    인스타그램 @a.____park
    이메일 active-park@naver.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