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파이썬 입문

  • 파이썬 공부 14. if 중첩문과 elif 이해하기

    파이썬 공부 14. if 중첩문과 elif 이해하기

    파이썬 if 중첩문 elif

    파이썬 공부 14. if 중첩문과 elif 이해하기. 지난 포스트에서는 if 문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설명했다. 기본적인 문법은 if 조건이 참일 경우 if 조건: 아래에 있는 들여쓰기 코드를 실행하고 if 조건이 거짓일 경우 else: 아래에 있는 들여쓰기 코드를 실행한다.

    그러나 세상에는 결과가 참과 거짓인 상황만 존재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if 문 안에 if 문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를 if 중첩문이라고 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if 중첩문과 if 중첩문을 편하게 사용하는 방법인 elif에 대해 공부해 보겠다.


    if 중첩문

    if 중첩문

    앞서 얘기했듯이 if 문 안에 if 문이 들어가면 if 중첩문으로 코딩이 처음이라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이해를 잘해야 한다. 위와 같이 if 중첩문으로 코드를 작성한 경우 if 조건이 참인데 if2 조건도 참이라면 코드1 > 코드2 > 코드5 순서로 실행하고 끝난다. 만약 if 조건은 참인데 if2 조건은 거짓이라면 코드1 > 코드3 > 코드5 순서로 실행하고 끝난다.

    만약 if 조건이 거짓이라면 코드4 > 코드5 순서로 실행하고 프로그램이 끝난다.

    if 중첩문 예시

    시험 점수에 따라 등급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려고 한다. 위와 같이 if 중첩문을 작성할 경우 변수 score가 40이라면 첫 번째 if 조건 ‘score가 60보다 큰가’는 거짓이 되고 첫 번째 else를 만나 “C등급”이란 메시지를 출력할 것이다. score의 값을 70으로 수정하면 첫 번째 if 조건 ‘score가 60보다 큰가’는 참이 되어 두 번째 if 조건으로 넘어간다. 두 번째 if 조건은 ‘score가 90보다 큰가’인데 여기서 거짓이 되므로 “B등급”이 출력된다.


    elif 사용하기

    elif

    if 중첩문을 사용할 경우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lif가 등장했다. elif는 else if의 약자로, if 조건이 참이 아니라면 다른 조건일 경우 elif 아래에 들여쓰기 코드를 실행하라는 명령이 된다. 최종적으로 if와 elif 모두가 거짓일 때 else가 실행된다. if와 같은 라인으로 코드를 작성하기 때문에 보기가 깔끔하다.

    등급을 나눴던 if 중첩문을 elif 문을 사용해 다시 작성해 보겠다.

    elif 문 사용 예시

    elif로 코드를 작성하니 한결 수월해졌다. if 조건은 ‘변수 score가 90보다 큰가’인데 거짓이니 다음 elif로 넘어간다. 여기서 elif 조건은 ‘변수 score가 60보다 큰가’인데 이도 거짓이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else로 넘어가 “C등급”을 출력한다.


    추천 포스트

    파이썬 if 문 이해하기
    링크: https://k-man.kr/3020

    파이썬 독학을 위한 기본 개념과 용어 정리
    링크: https://k-man.kr/파이썬-기초-독학-개념-용어-정리

  • 파이썬 독학 공부 13. 조건문 if 문 문법 이해하기

    파이썬 독학 공부 13. 조건문 if 문 문법 이해하기

    파이썬 조건문 if문

    파이썬 독학 공부 13. 조건문 if 문 문법 이해하기. 드디어 자료형은 공부가 끝났다. 이제부터는 파이썬에서는 프로그램을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문을 배울 예정인데, 제어문은 대표적으로 조건문인 if 문과 반복문인 while 문, for 문으로 나누어진다.

    이 포스트에서 가장 이해하고 사용하기 쉬운 if 문을 배워보도록 하겠다.


    파이썬 독학 공부
    조건문 if 이해하기

    파이썬 if 문

    if 문은 조건이 참인 경우에 아래에 들여쓰기 된 코드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무시하고 다음 코드로 넘어가는 문법이다. else를 사용하면 조건이 거짓일 때에도 특정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조건문부터는 인터프리터 언어로 코드를 실행하는 게 불편한 면이 있기 때문에 비주얼 스튜디오로 코드를 작성하겠다.

    if 문

    변수 score에 90을 대입하고,

    score = 90


    변수 score가 60보다 크다면 “합격”이라는 문장을 출력하고 싶다면, if 조건:(세미콜론으로 닫아줘야 한다)을 작성하고, 아랫줄에 참일 경우 실행할 코드 print(“합격”)를 TAP키를 눌러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if 조건의 참 거짓과 상관 없이 실행할 코드를 작성한다.

    if score > 60:
      print(“합격”)
    print(“시험끝!”)


    코드를 실행해보면 변수 score는 90이므로 아래와 같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합격
    시험끝!

    if-else

    만약 if 조건이 거짓일 때에 특정 코드를 실행하고 싶다면, else를 추가하고 else 아래에 조건이 거짓일 때 코드를 들여쓰기로 작성해 주면 된다.

    score = 40

    if score > 60:
      print(“합격”)
    else:
      print(“불합격”)
    print(“시험끝!”)

    불합격
    시험끝!


    추천 포스트

    불 자료형과 관계 연산자
    링크: https://k-man.kr/2954

  • 파이썬 강의 12. 불 자료형과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파이썬 강의 12. 불 자료형과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파이썬 불 자료형과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파이썬 강의 12. 불 자료형 이해하기.(bool) 자료형은 참(True)과 거짓(False) 두 개의 값을 가지는 자료형으로 조건문이나 반복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야 한다. 불 자료형은 일종의 결괏값이므로 불 자료형을 이해하기 위해는 관계 연산자논리 연산자를 같이 이해해야 한다.


    불 자료형과 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두 개의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며 그 결괏값을 참과 거짓인 불 자료형으로 반환한다. 위와 같이 관계 연산자는 6개가 있으나 어렸을 때 수학 시간에 배운 부등호 기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불 자료형과 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 연습을 위해 변수 A와 B에 정수 자료형을 대입하고, A와 B가 같은지 다른지 비교해보자.

    >>> A = 2
    >>> B = 4
    >>> A == B
    False
    >>> A != B
    True


    변수 A에는 2, B에는 4가 들어가 있으므로 A와 B가 같냐(A == B)고 물으면 같지 않으므로 False이라는 결괏값을 반환한다. 반대로 A와 B가 같지 않냐(A != B)라고 물으면 같지 않으므로 True라는 결괏값을 반환한다.

    이번엔 크냐 작냐를 비교해보겠다.

    >>> A > B
    >>> False
    >>> A < B
    True


    변수 A에는 2, B에는 4가 들어가 있으므로 A가 B보다 크냐(A > B)고 물으면 크지 않으므로 False이라는 결괏값을 반환한다. 반대로 A가 B보다 작냐(A < B)고 물으면 작으므로 True라는 결괏값을 반환한다. 크거나 같냐, 작거나 같냐는 생략한다.


    불 자료형과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불 자료형을 이용하여 논리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다시 불 자료형으로 반환한다. 논리 연산자는 and, or, not이 있는데 하나씩 살펴보겠다.

    불 자료형과 논리 연산자

    and 연산자두 값이 모두 참일 경우에만 참을 반환하고 그 외에는 거짓을 반환한다. 변수 A에 True, B에 False을 대입하고 and 연산자를 사용해 보겠다.

    >>> A = True
    >>> B = False
    >>> A and B
    False


    A and B가 참이 되려면 A와 B 둘 다 참이어야 하므로 A and B는 거짓을 반환하게 된다.

    이번에는 or 연산자를 사용해 보겠다. or 연산자는 두 개의 값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을 반환하고, 두 개의 값이 모두 거짓인 경우에만 거짓을 반환한다.

    >>> A or B
    True


    A or B는 참이다. 왜냐하면 A가 참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not 연산자를 사용해보겠다. not 연산자는 참은 거짓으로, 거짓은 참으로 반환한다.

    >>> not A
    False


    not A는 거짓이다. 왜냐하면 A가 참이기 때문에 반대로 바꿔 거짓으로 반환하는 것이다.


    bool() 함수와 거짓이 되는 값

    bool 함수

    bool( ) 함수를 이용하면 다른 자료형의 참과 거짓으로 바꿀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거짓이 되는 값이 있다는 말인데, 대표적으로 정수형에는 0이, 빈 문자열과 빈 리스트, 빈 튜플, 빈 딕셔너리 자료형이 거짓으로 취급된다.

    위와 같이 변수 A, B, C에 bool( ) 함수 소괄호 안에 거짓이 되는 값을 입력한 다음 반환되는 결괏값을 확인해 보길 바란다.


    추천 포스트

    숫자형 자료와 산술 연산자
    링크: https://k-man.kr/2273

    리스트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링크: https://k-man.kr/2580

  • 파이썬 기초 11.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기초 11.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기초 11.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딕셔너리 자료형이란 리스트와 튜플과 마찬가지로 여러 값의 묶음을 나타내는 자료형이지만, 값에 접근할 때 인덱스가 아닌 지정한 키로 접근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값을 입력할 때 순서에서 자유롭다.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딕셔너리 자료형

    변수명 = { 키1: 값1, 키2: 값2 … }

    딕셔너리 자료형은 중괄호 { }를 사용하며 키와 값을 한 쌍으로 입력한다. 이때 키와 값은 콜론 : 으로 구분한다. 각각의 키와 값은 리스트 자료형과 튜플 자료형과 마찬가지로 쉼표 , 로 구분한다.

    딕셔너리 자료형

    다음과 같이 변수 people에 딕셔너리 자료형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을 대입한 다음 type() 함수로 자료형을 확인해 보자. 참고로 값이 아닌 키를 정의할 때도 문자일 경우에는 따옴표로 문자 처리를 해줘야 한다.

    >>> people =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
    >>> people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
    >>> type( people )
    <class ‘dict’>


    딕셔너리 자료형에서 값을 사용할 땐 인덱싱하는 방법과 동일하지만 인덱스 값 대신 키를 알고 있어야 한다.
    예: 딕셔너리변수[ 키 ]

    >>> people[ ‘mbti’ ]
    ‘INTJ’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 자료형 추가, 수정, 삭제

    딕셔너리 자료형 추가, 수정, 삭제

    딕셔너리변수[키] = 값

    딕셔너리 변수에 키와 값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방법은 동일하다. 만약 키가 기존 변수에 없다면 추가고 키가 기존 변수에 있다면 수정이 된다.

    연습을 위해 변수 people에 딕셔너리 자료형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을 대입한 다음 주소’서울’를 추가하고, mbti는 INTJ에서 ENTJ로 수정하겠다.

    >>> people =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
    >>> people[ ‘address’ ] = ‘서울’
    >>> people[ ‘mbti’ ] = ‘ENTJ’
    >>> people
    { ‘name’: ‘강력맨’, ‘age’: 36, ‘mbti’: ‘ENTJ’, ‘addres’: ‘서울’ }


    삭제하는 방법은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del 함수를 사용한다.

    >>> del people[ ‘mbti’ ]
    >>> people
    { ‘name’: ‘강력맨’, ‘age’: 36, ‘addres’: ‘서울’ }


    추천 포스트

    파이썬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링크: https://k-man.kr/2870

    파이썬 리스트 자료형
    링크: https://k-man.kr/2580

  • 파이썬 공부 10.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공부 10.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공부 10.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튜플은 여러 값들의 묶음을 나타내는 자료형으로 리스트 자료형과 형태는 동일하기 때문에 리스트 자료형을 잘 이해했다면 쉬운 녀석이다. 하지만 리스트 자료형과 달리 한 번 생성되면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점이 특징이 있다.


    파이썬 공부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튜플 자료형은 리스트 자료형과 달리 소괄호 ( )를 사용해 정의하며 값들은 쉼표 , 로 구분한다. 다음과 같이 변수 tuple에 튜플 자료형을 대입한 다음 type() 함수로 자료형을 확인해보겠다.

    >>> tuple = (1, 2, 3)
    >>> tuple
    (1, 2, 3)
    >>> type(tuple)
    <class ‘tuple’>


    하지만 튜플 자료형은 리스트와 달리 값들을 삭제하거나 추가할 수 없다. 다음과 같이 값을 삭제하는 del 함수를 사용하면 오류가 뜬다.

    >>> del tuple[0]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TypeError: ‘tuple’ object doesn’t support item deletion


    파이썬 공부
    튜플 자료형 연산하기

    튜플 자료형 인덱싱 슬라이싱 연산하기

    값은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없지만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인덱싱과 슬라이싱, 연산도 가능하다.

    변수 tuple1, tuple2에 튜플 자료형을 대입하고 다음과 같이 인덱싱과 슬라이싱 코드를 작성해보자.

    >>> tuple1 = (1, 2, 3)
    >>> tuple2 = (‘a’, ‘b’, ‘c’)
    >>> tuple1[0]
    1
    >>> tuple2[1:]
    (‘b’, ‘c’)


    다음으로 더하기와 곱하기 연산을 해보겠다.

    >>> tuple1 + tuple2
    (1, 2, 3, ‘a’, ‘b’, ‘c’)
    >>> tuple1 * 2
    (1, 2, 3, 1, 2, 3)


    마지막으로 len() 함수로 튜플의 값이 몇 개인지 구해보겠다.

    >>> len(tuple1)
    3


    추천 포스트

    리스트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링크: https://k-man.kr/2580

    파이썬 독학을 위한 기본 개념과 용어 정리
    링크: https://k-man.kr/파이썬-기초-독학-개념-용어-정리

  • 파이썬 독학 09. 리스트 자료형 연산하기 len() 함수

    파이썬 독학 09. 리스트 자료형 연산하기 len() 함수

    파이썬 리스트 자료형 연산하기 len() 함수

    파이썬 독학 09. 리스트 자료형 연산하기 len( ) 함수. 리스트 자료형의 연산은 문자열과 큰 차이는 없기 때문에 그닥 어렵지도 않고 크게 많이 사용되는 것 같지도 않다. 그보다는 리스트 자료형의 요소수를 구하는 len( ) 함수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이 포스트에서 공부하도록 하겠다.


    파이썬 독학
    리스트 자료형 연산하기

    리스트 자료형 연산하기

    리스트 자료형의 연산은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더하기 곱하기만 가능하다.

    일단 변수 a와 변수 b에 리스트 자료를 대입한 다음 더하기를 해보면 아래와 같은 결괏값을 얻을 수 있다.

    >>> a = [1, 2, 3]
    >>> b = [‘a’, ‘b’, ‘c’]
    >>> a + b
    [1, 2, 3, ‘a’, ‘b’, ‘c’]


    이번엔 곱하기를 해보면 아래와 같은 결괏값을 얻을 수 있다.

    >>> a * 2
    [1, 2, 3, 1, 2, 3]


    파이썬 독학
    len( ) 함수

    len() 함수

    len() 함수는 리스트 자료형의 요소수를 구할 때 사용한다. 함수명 len을 입력하고 ( ) 괄호 안에 변수명을 입력하면 해당 변수의 요소수를 계산해 준다.

    일단 변수 list에 리스트 자료형을 대입하고 확인한다.


    >>> list = [1, 2, 3]
    >>> list
    [1, 2, 3]


    변수 list에 요소수가 딱 봐도 3개라는 걸 알 수 있지만, 함수로 직접 확인해 보자.

    >>> len(list)
    3


    리스트 자료형의 요소수를 구하는 함수는 자주 사용하므로 꼭 기억해두자.


    추천 포스트

    리스트 자료형 수정과 삭제, 추가, 삽입하기
    링크: https://k-man.kr/2803

    리스트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링크: https://k-man.kr/2580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