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재테크

  •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이자 계산, 카뱅 풍차 돌리기 방법 알아보자!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이자 계산, 카뱅 풍차 돌리기 방법 알아보자!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기준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저축의 시대에 카카오 뱅크 저축 상품 중 26주 적금이 인기다. 기존의 적금과 달리 주 단위로 저축할 수 있으며 1,000원이라는 소액부터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연 7%에 달하는 놀라운 금리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의 적금과 달리 주 단위로 불입해서 이자 계산이 어렵기 때문에 이번 포스트에서 이자 계산과 더불어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상품 소개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상품의 특징은 세 가지다.

    첫째, 매주 불입하고 만기는 26주 뒤다. 대략 6개월이 걸린다. 둘째, 가입 금액은 1,000원, 2,000원, 3,000원, 5,000원, 10,000원으로 정해져 있다. 셋째, 매주 불입해야 할 금액이 가입 금액만큼 증액된다. 그러니까 가입 금액을 1,000원으로 시작했으면 다음주에는 2,000원 다다음주에는 3,000원을 불입하고 마지막 26주 뒤에는 26,000원을 불입해야 한다. 가입 금액을 1,000원으로 시작했을 경우 만기일에 원금 351,000원이 모이고 이자는 3,872원으로 예상된다.

    왜 351,000원의 7%인 24,570원이 이자가 아니라 고작 3,872원이 이자냐고 묻는다면 여기에는 3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계좌에 예치된 기간만큼 이자를 지급하는데 적금의 경우 매월 또는 매주 불입하다면 이자를 받는 기간이 예금에 비해 짧아진다. 그래서 적금은 원금을 기준으로 연 금리를 적용해 계산하면 안 맞다(아래 링크 ‘예금과 적금의 차이’ 포스트에 설명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둘째,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의 금리는 연 7%다. 즉 일 년을 기준으로 7%란 얘기인데, 26주면 대략 6개월만 예치했으니 연 금리의 반만 받는다고 잘라 생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세금까지 제외해야 한다.

    예금과 적금 차이!
    링크: https://k-man.kr/641

    https://k-man.kr/641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이자 계산하기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이자

    가입 금액 1,000원: 만기일에 원금 351,000원이 모이고 이자 3,872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2,000원: 만기일에 원금 702,000원이 모이고 이자 7,743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3,000원: 만기일에 원금 1,053,000원이 모이고 이자 11,615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5,000원: 만기일에 원금 1,755,000원이 모이고 이자 19,538원을 받는다.
    가입 금액 10,000원: 만기일에 원금 3,510,000원이 모이고 이자 38,717원을 받는다.

    연 7% 기준이다. 엑셀을 이용해 직접 계산했기 때문에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다면 실제 이자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봐주길 바란다.


    카뱅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풍차 돌리기는 매월 예금이나 적금에 가입하면 2년차부터 매월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데 그 원금을 다시 동일한 예적금에 가입하면 매월 일정한 현금흐름이 발생한다는 논리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은 가입 금액이 정해져 있고 매주 불입하기 때문에 기존의 적금 풍차 돌리기의 남극성 이론(월적수나 선납 이연 등)을 적용할 수 없다.

    대신 매주 적금 계좌를 개설할 경우 총 얼마를 저축해야하는지 계산해 보고 6개월로 나누면 월평균 저축금액을 구할 수 있다.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매주 1,000원씩 불입하는 적금 계좌를 만들어 간다면 총 26개의 적금을 만들게 되고 52주까지 불입하게 된다. 그러면 1년 동안 총 8,173,000원을 불입해야 하지만, 사실 8,173,000원을 모두 불입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27주부터 매주 만기 원금 351,000원과 이자 3,870원이 나오기 때문이다. 27주에 받는 만기 원금 +이자에 불입해야 하는 349,000원을 빼도 돈이 남는다.

    다시 말해 27주 이후부터는 적금을 불입하지 않아도 만기로 받는 돈으로 낼 수 있다. 여기서 또다시 2,000원 적금 계좌를 개설해서 기존 원금에 새로운 원금을 추가하는 식으로 저축을 이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결론적으로 우리가 알아야 할 금액은 26주까지 불입할 금액이다. 가입 금액을 1,000원으로 풍차 돌리기를 할 경우 6개월간 저축해야 할 금액은 3,251,000원이다. 이를 6으로 나누면 월 541,833원이다. 월 541,833원을 저축한다고 생각하고 카카오 뱅크에 이체시켜 놓으면 문제 없이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를 할 수 있다.

    자 이렇게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과 월 불입액까지 계산해 보았다. 직접 계산하는 과정에 실수나 오타가 있으면 계산이 틀릴 수 있다는 점 유념해서 계획 잘 세워보길 바란다. 그럼 다들 저축 잘해서 저축 덕후 되길 바란다.


    추천 포스트

    예금 풍차 돌리기 방법
    링크: https://k-man.kr/783

    남극성 이론
    링크: https://k-man.kr/846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 정보 by 박강력

    정부 창업 지원금 컨설팅
    종목 추천 & 주식 강의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컨설팅 www.박강력.com
    인스타그램 @a.____park
    이메일 active-park@naver.com

  • 풍차 돌리기 적금 방법(feat. 남극성 이론) 이자 소득 극대화!

    풍차 돌리기 적금 방법(feat. 남극성 이론) 이자 소득 극대화!

    적금 풍차돌리기

    풍차 돌리기 적금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남극성 이론에 대해 먼저 설명하는 게 옳은 것 같다. 남극성은 북극성의 대칭에 존재하는 항성이 아닌 사람(필명인지 본명인지 모르겠다)이름으로 2012년 <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는 저서를 통해 이자 소득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남극성 이론을 소개한 인물이다.

    출간 이후 많은 재테크 강사들이 그의 이론을 베껴 TV에 소개하는 바람에 지금은 풍차 돌리기로 유명해졌고 많은 블로거들이 베끼고 베껴 잘못된 이론이 전파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자는 다음 책에 그 분노를 쏟아 내면서 남극성 이론으로 불러달라는 바램을 말했다. 진실을 아는 나라도 제대로 된 용어를 언급하는 것이 도리라 생각되어 미리 이렇게 구구절절 설명하게 되었다.


    잘못된 풍차 돌리기 적금

    잘못된 풍차 돌리기 적금

    인터넷에 떠도는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을 보면 매월 적금에 가입한다고 되어 있다. 예금은 한 번에 돈을 예치하므로 매월 가입해도 생활에 큰 무리는 없지만 적금은 매월 예치하는 상품이다. 아무 생각 없이 매월 적금에 가입할수록 매월 저축으로 빠져나가는 돈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달에 적금 1을 개설하고 10만 원을 예치해야 한다. 두 번째 달에는 적금 2를 개설하고 적금 1과 적금 2에 각각 10만 원씩 총 20만 원을 예치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월 예치금이 커지다가 마지막 달에는 총 120만 원을 예치해야한다.

    저축의 관점에서 절대로 지속 가능한 방법이 아니다. 대부분은 중간에 포기를 하고 적금을 해지한다. 그러면 은행은 이자를 적게 줘도 되므로 은행만 좋은 일이다. 재미있게도 이 잘 못된 방법을 은행 블로그에도 권하는데, 왜일까.. ^^


    남극성의 풍차 돌리기 적금

    월적수

    만약 매월 적금을 개설할 경우 1년 동안 총 78번 예치하게 된다. 또는 월 불익앱이 계좌에 보관되고 있는 시간(78개월)이기도 하다. 이를 월적수라고 한다. 월적수를 이용하면 적금으로 풍차 돌리기를 할 때 계산이 쉬워진다. 예를 들어 매월 10만 원씩 적축하고 싶다고 하면 1년이면 120만 원이다. 이 120만 원을 월적수인 78로 나누면 월 불입액은 15,384원이라는 계산이 된다.

    적금 풍차 돌리기

    제대로 된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은 월 불입액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매월 적금에 가입하는 것이다.

    방법은 위와 같다. 처음에 적금 1에 15,384원을 넣으면 84,616원이 남는데 이 돈을 CMA에 보관해둔다. 두 번째 달에는 적금 1에 15,384원, 적금 2에 15,384원을 넣고 남은 69,232원은 CMA에 보관한다. 매월 적금이 늘어나므로 어느 순간 월 불입액이 10만 원을 넘어가게 된다. 그때 모자라는 돈을 CMA에서 꺼내 적금에 넣으면 동일한 금액의 월 불입액을 유지할 수 있다. 깔끔하다.


    이렇게 계산이 복잡한 적금 풍차 돌리기를 해야 할까?

    예금 풍차 돌리기

    이렇게 계산이 복잡하고 어려운데 적금 풍차 돌리기를 해야 할까? 남극성 이론에서 적금 풍차 돌리기가 권장된다. 이유는 적금 풍차 돌리기를 할수록 이자가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왜 그런지 계산해 보자.

    원금 12만 원으로 매월 단리 4% 예금에 가입하면서 예금 풍차 돌리기를 하면 2년 차부터는 매월 원금 12만 원과 4,061원의 세후 이자를 받을 수 있다. 12를 곱하면 2년 차에 받는 이자는 총 48,732원이다.

    적금 풍차 돌리기

    반면 적금 풍차 돌리기의 상황을 보자. 매월 총 불입액을 12만 원이라고 치면 일 년 동안 총 1,440,000원의 원금을 모을 수 있다. 이를 월적수 78로 나누면 적금 하나에 불입해야 하는 월 불입액은 18,461원이 된다. 매월 18,461원을 예치하면 만기일에 받게 되는 원금이 221,532원이고 이자는 4,061원이다(보통 적금 금리가 높지만 비교를 하기 위해 동일하게 적용했다).

    분명 1년 동안 예금과 적금 똑같은 금액을 예치하고 풍차를 돌렸는데 만기일에 받는 원금은 2배 차이가 나게 되다니! 어떤 마법을 쓴 것일까? 월적수로 나눈 월 불입액 18,451원에 12(12개월)로 곱하고 거기에 또 12(12계좌)를 곱하면 총 2,658,384원이다. 그 말은 곧 적금을 유지하려면 2년 차에 추가로 적금을 가입하지 않더라도 1,218,384원(2,658,384원 – 1년차 원금)을 더 내야 된다는 말인데, 실제로는 더 많은 돈을 낼 필요가 없다.

    적금 풍차 돌리기 2년 1회차

    2년 차부터 12개의 계좌에 모두 적금을 넣어야 하기 때문에 월 불입액이 총 240,617원( 37,546 + 18,461 x 11 )이다. 이때 적금 1이 만기가 끝나 세후 이자 포함 225,593원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 돈과 월 불입 12만 원을 계속하면 월 불입액을 내고도 남는데 이 돈은 CMA에 보관해뒀다가 다시 월 불입액이 만기 원금+이자+월 저축보다 커지면 꺼내는 식으로 돈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게 남극성 이론의 핵심이다.

    참고로 여기서 2년차 1회에 새로만든 적금 1의 불입액이 37,547원이란 계산이 나온 이유는 다음과 같다. 1년차 원금 1,439,958원과 + 2년차 이자 48,732원 + 2년차 원금 1,439,958원을 모두 더한 값 2,928,648원을 월적수 78로 나누면 37,546원이 된다.


    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

    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

    적금 풍차 돌리기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 남극성의 <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를 읽을 때도 어렵고 이해가 안 가서 일주일 동안 3번은 읽고 겨우 이해했는데, 막상 설명하려니 설명하면서도 진짜 어렵긴 하다. 원저자가 내 글을 읽고 탐탁지 않게 생각하면 다행이다. 내 글이 이해가 안 가더라도 직접 적금 풍차 돌리기를 실천하면서 블로그에 후기 글을 쓰다 보면 난해하게 느껴지는 다른 사람들도 이해가 가지 않을까 싶다.

    위에 설명한 적금 풍차 돌리기의 응용 버전이 책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수학에 자신이 있다면 꼭 읽어볼 것을 권한다.


    추천 포스트

    예금 풍차 돌리기
    링크: https://k-man.kr/783

    단리 복리 차이점
    링크: https://k-man.kr/699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 정보 by 박강력

    정부 창업 지원금 컨설팅
    종목 추천 & 주식 강의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컨설팅 www.박강력.com
    인스타그램 @a.____park
    이메일 active-park@naver.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