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기초 11.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기초 11.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딕셔너리 자료형이란 리스트와 튜플과 마찬가지로 여러 값의 묶음을 나타내는 자료형이지만, 값에 접근할 때 인덱스가 아닌 지정한 키로 접근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값을 입력할 때 순서에서 자유롭다.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딕셔너리 자료형

변수명 = { 키1: 값1, 키2: 값2 … }

딕셔너리 자료형은 중괄호 { }를 사용하며 키와 값을 한 쌍으로 입력한다. 이때 키와 값은 콜론 : 으로 구분한다. 각각의 키와 값은 리스트 자료형과 튜플 자료형과 마찬가지로 쉼표 , 로 구분한다.

딕셔너리 자료형

다음과 같이 변수 people에 딕셔너리 자료형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을 대입한 다음 type() 함수로 자료형을 확인해 보자. 참고로 값이 아닌 키를 정의할 때도 문자일 경우에는 따옴표로 문자 처리를 해줘야 한다.

>>> people =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
>>> people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
>>> type( people )
<class ‘dict’>


딕셔너리 자료형에서 값을 사용할 땐 인덱싱하는 방법과 동일하지만 인덱스 값 대신 키를 알고 있어야 한다.
예: 딕셔너리변수[ 키 ]

>>> people[ ‘mbti’ ]
‘INTJ’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 자료형 추가, 수정, 삭제

딕셔너리 자료형 추가, 수정, 삭제

딕셔너리변수[키] = 값

딕셔너리 변수에 키와 값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방법은 동일하다. 만약 키가 기존 변수에 없다면 추가고 키가 기존 변수에 있다면 수정이 된다.

연습을 위해 변수 people에 딕셔너리 자료형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을 대입한 다음 주소’서울’를 추가하고, mbti는 INTJ에서 ENTJ로 수정하겠다.

>>> people = { ‘name’: ‘강력맨’, ‘age’: 36, ‘mbti’: ‘INTJ’ }
>>> people[ ‘address’ ] = ‘서울’
>>> people[ ‘mbti’ ] = ‘ENTJ’
>>> people
{ ‘name’: ‘강력맨’, ‘age’: 36, ‘mbti’: ‘ENTJ’, ‘addres’: ‘서울’ }


삭제하는 방법은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del 함수를 사용한다.

>>> del people[ ‘mbti’ ]
>>> people
{ ‘name’: ‘강력맨’, ‘age’: 36, ‘addres’: ‘서울’ }


추천 포스트

파이썬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링크: https://k-man.kr/2870

파이썬 리스트 자료형
링크: https://k-man.kr/2580

경제적 자유를 위해 블로그를 운영합니다. 정부 창업 지원금 컨설팅, 주식 종목 추천 & 강의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Posts created 5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Posts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

Back To Top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