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파이썬

  • 파이썬 기초 강의 08. 리스트 자료형 요소 수정, 삭제, 추가, 삽입하기

    파이썬 기초 강의 08. 리스트 자료형 요소 수정, 삭제, 추가, 삽입하기

    파이썬 리스트 자료형 요소수정, 삭제, 삽입

    파이썬 기초 강의 08. 리스트 자료형 요소 수정과 삭제, 추가, 삽입. 리스트 자료형은 여러 숫자나 문자열이 모인 자료다.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만 수정하고 싶을 때 일반적인 대입 방법을 사용하면 다른 자료형으로 대체가 되므로, 리스트에 포함된 요소 중 하나의 요소만 수정하거나 삭제, 추가,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파이썬 기초 강의
    리스트 자료형 요소 수정과 삭제

    리스트 자료형 요소 수정과 삭제

    수정하거나 삭제할 요소의 인덱스 값만 알고 있으면 리스트 자료형의 요소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것은 쉽다.

    일단 변수 list에 리스트 자료형을 대입하고 확인한다.

    >>> list = [1, 2, 3]
    >>> list
    [1, 2, 3]


    리스트 요소를 수정하는 방법은 변수[ 수정하려는 요소의 인덱스 값 ]에 수정하려는 값을 대입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 변수 list의 인덱스 1번 위치의 요소를 수정하고 싶다면, list[1] = 5(수정할 값)을 입력한다.

    >>> list[1] = 5
    >>> list
    [1, 5, 3]


    리스트 요소를 삭제하고 싶다면 델 del 함수를 먼저 입력하고 변수[ 삭제하려는 요소의 인덱스 값 ]을 입력하면 된다. 예를 들어 변수 list의 인덱스 1번 위치의 요소를 삭제하고 싶다면, del list[1] = 5(삭제할 값)을 입력한다.

    >>> del list[1]
    >>> list
    [1, 3]


    여러 요소를 삭제하고 싶다면 슬라이싱 기법을 사용하면 된다.


    파이썬 기초 강의
    리스트 자료형 요소 추가

    리스트 자료형 요소 추가

    리스트에 요소를 추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추가란 요소를 맨 마지막에 붙인다는 의미다.

    일단 변수 list에 리스트 자료형을 대입하고 확인한다.

    >>> list = [1, 2, 3]
    >>> list
    [1, 2, 3]


    리스트에 요소를 추가할 때는 어팬드 append( )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변수 list.append( ) 괄호 안에 추가하고 싶은 요소를 입력한다.

    >>> list.append(4)
    >>> list
    [1, 2, 3, 4]


    단, 어팬드 append( ) 함수는 한 개의 요소만 추가할 수 있으므로 여러 요소를 추가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익스텐드 extend( ) 함수를 사용한다. 방법은 똑같으나 익스텐드 extend( ) 함수는 괄호 안에 대괄호 [ ] 처리를 해줘야 한다.

    >>> list.extend([5, 6, 7])
    >>> list
    [1, 2, 3, 4, 5, 6, 7]


    파이썬 기초 강의
    리스트 자료형 요소 삽입

    리스트 자료형 요소 삽입

    리스트에 요소를 삽입할 때는 인설트 insert( ) 함수를 사용한다. insert( ) 괄호 안에 삽입할 위치의 인덱스 값을 앞에, 쉼표로 구분하고 자료형을 뒤에 입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insert(1, 5)라고 입력하면 인덱스 값 1에 5를 삽입한다는 의미다.

    일단 변수 list에 리스트 자료형을 대입하고 확인한다.

    >>> list = [1, 2, 3]
    >>> list
    [1, 2, 3]


    인덱스 값 0에 0을 추가하고 싶다. 이럴 때는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list.insert(0, 0)
    >>> list
    [0, 1, 2, 3]

    리스트 자료형 요소 수정과 삭제, 추가, 삽입하기 끝!


    추천 포스트

    리스트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링크: https://k-man.kr/2580

    파이썬 독학을 위한 기본 개념 정리
    링크: https://k-man.kr/파이썬-기초-독학-개념-용어-정리

  • 파이썬 무료 강의 07. 리스트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파이썬 무료 강의 07. 리스트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파이썬 리스트 자료형

    파이썬 무료 강의 07. 리스트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오늘 배울 내용은 리스트 자료형이다. 리스트 자료형은 여러 숫자나 문자열이 모인 형태의 자료형이다. 꽤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둘 필요가 있다.


    파이썬 무료 강의
    리스트 자료형 만들기

    리스트 자료형

    리스트 자료형을 만들려면 리스트에 들어갈 자료형들을 대괄호 [ ]로 감싸주고 구분은 쉼표 , 로 해주면 된다. 숫자 1, 2, 3, 4, 5를 리스트로 만들고 싶다면 위와 같이 [ 1, 2, 3, 4, 5 ]를 입력하면 된다.

    변수 number에 리스트 자료형을 대입하고

    >>> number = [ 1, 2, 3, 4, 5 ]


    변수 number를 입력하면 리스트가 값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number
    [ 1, 2, 3, 4, 5 ]


    type( ) 함수로 변수 number의 자료형이 어떤 타입인지 확인해보면, <class ‘list’>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type( number )
    <class ‘list’>


    파이썬 무료 강의
    리스트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 인덱스

    리스트 자료형도 문자열과 똑같이 인덱스가 있다. 왼쪽부터 0으로 시작하는 정방향 인덱스 값과, 오른쪽부터 -1로 시작하는 역방향 인덱스 값이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 ‘Just’, ‘do’, ‘it’ ]이라는 문자열 리스트의 경우 ‘Just’의 인덱스 값은 0과 -3이고, ‘do’의 인덱스 값은 1과 -2, ‘it’의 인덱스 값은 2와 -1이다. 간단하게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해보자.

    리스트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변수 nike에 리스트 자료형 [ ‘Just’, ‘do’, ‘it’ ]을 대입한다.

    >>> nike = [ ‘Just’, ‘do’, ‘it’ ]


    변수 nike에서 ‘Just’만 뽑아 쓰고 싶다면 변수 nike에서 ‘Just’의 인덱스 값을 인덱싱한다.

    >>> nike[ 0 ]
    ‘Just’


    이번엔 슬라이싱을 해보겠다. 슬라이싱 방법은 문자열과 동일하다. 변수 nike에서 ‘Just’와 ‘do’만 뽑아 쓰고 싶다면 변수 nike에서 ‘Just’와 ‘it’까지의 인덱스 값을 콜론 : 으로 구분해 입력한다. 슬라이싱은 [ a : b ] a부터 b 미만까지이므로, ‘it’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을 입력해야 ‘do’까지 나온다.

    >>> nike[ 0:2 ]
    [ ‘Just’, ‘do’ ]


    파이썬 무료 강의
    중첩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

    중첩 리스트 인덱스

    머리 아프지만 중첩 리스트라는 것이 있다. 중첩 리스트란 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포함된 리스트를 말한다. 리스트 안에 포함된 리스트는 기본적으로 쉼표로 구분된 요소의 인덱스 값을 갖는다. 그렇다면 리스트 안에 들어있는 리스트의 요소를 뽑아 쓰고 싶을 땐 어떻게 해야 할까? 대괄호를 하나 더 쓰면 된다.

    중첩 리스트 인덱싱 슬라이싱

    먼저 변수 number에 중첩 리스트 자료형 [ 1, 2, [ ‘Just’, ‘do’, ‘it’ ] ]을 대입한다.

    >>> number = [ 1, 2, [ ‘Just’, ‘do’, ‘it’ ]


    변수 number에서 인덱스 값 2를 뽑아낸다.

    >>> number[ 2 ]
    [ ‘Just’, ‘do’, ‘it’ ]


    리스트 안의 리스트에 있는 자료를 꺼내기 위해 대괄호를 하나 더 사용한다.

    >>> number[ 2 ][ 0 ]
    ‘Just’


    이번엔 리시트 안의 리스트에 있는 자료를 슬라이싱 해보겠다. 방법은 동일하다.

    >>> number[ 2 ][ 0:2 ]
    [ ‘Just’, ‘do’ ]


    추천 포스트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링크: https://k-man.kr/2356

    파이썬 독학을 위한 기본 개념과 용어 정리
    링크: https://k-man.kr/파이썬-기초-독학-개념-용어-정리

  • 파이썬 기초 독학 06. f 문자열 정렬 과 공백 채우기

    파이썬 기초 독학 06. f 문자열 정렬 과 공백 채우기

    파이썬 f 문자열 정렬과 공백 채우기

    파이썬 기초 독학 06. f 문자열 정렬 과 공백 채우기. f 문자열 정렬은 왼쪽 또는 오른쪽 정렬 방식을 말하고 공백 채우기는 빈 공백을 다른 문자로 채워주는 기능을 말한다. 사실 이 정도까지 알아야 하나 싶지만 일단은 포스팅해 둘 테니 참고하길 바란다.


    파이썬 기초 독학
    f 문자열 정렬과 공백 채우기

    파이썬 f 문자열 정렬

    일단 문자열 정렬은 부등호로 표기한다. 왼쪽 정렬< 이고, 오른쪽 정렬> , 가운데 정렬^다. 그리고 문자열을 정렬하기 위해서는 문자열이 들어가야 하는 공간, 즉 총 인덱스 값이 필요하다. f 문자열 포매팅에서 정렬을 하려면 위와 같이 중괄호 { } 안에 변수명은 먼저 입력하고 콜론 : 으로 구분한 다음 정렬 기호와 총 인덱스 값을 입력하면 된다.

    왼쪽 정렬을 하고 싶다면 f”{ 변수명:<인덱스 값}” ,
    오른쪽 정렬을 하고 싶다면 f”{ 변수명:>인덱스 값}” ,
    가운데 정렬을 하고 싶다면 f”{ 변수명:^인덱스 값}” 라고 입력하면 된다.

    f 문자열 정렬

    변수 alignment에 “정렬” 문자열을 대입한 다음

    f”{alignment:<10}” 이라고 왼쪽 정렬, 총 인덱스 10 코드를 입력하면
    ‘정렬 ‘ 이라는 결괏값을 확인할 수 있다.

    f”{alignment:>10}” 이라고 오른쪽 정렬, 총 인덱스 10 코드를 입력하면
    ‘ 정렬’이라는 결괏값을 확인할 수 있다.

    f”{alignment:^10}” 이라고 가운데 정렬, 총 인덱스 10 코드를 입력하면
    ‘ 정렬 ‘이라는 결괏값을 확인할 수 있다.

    f 문자열 공백 채우기

    총 인덱스 값으로 인해 만들어진 공백을 특정 문자로 채울 수 있다. 방법은 부등호 앞에 문자를 입력하면 된다. 단 한 글자만 가능하다.

    >>> alignmne: =”정렬”
    >>> f”{alignment:-<10}”
    ‘정렬——–‘
    >>>f”{alignment:=>10}”
    ‘========정렬’
    >>>f”{alignmnet:~^10}”
    ‘~~~~정렬~~~~’


    추천 포스트

    f 문자열 포매팅
    링크: https://k-man.kr/2400

    문자열 자료형과 연산
    링크: https://k-man.kr/2318

  • 파이썬 독학 공부 05. f 문자열 포매팅과 소수점 표현하기

    파이썬 독학 공부 05. f 문자열 포매팅과 소수점 표현하기

    파이썬 f문자열 포매팅과 소수점 사용

    파이썬 독학 공부 05. f 문자열 포매팅과 소수점 사용. 문자열 자료를 출력하다 보면 문자열 중간에 변수를 삽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문자열에 변수를 삽입하는 작업을 문자열 포매팅(Formatting)이라고 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과거에 쓰던 문자열 포매팅 방법과 최신 버전에 사용하는 f 문자열 포매팅 둘 다 배워보겠다.


    파이썬 독학
    문자열 포매팅

    파이썬 구버전 포매팅

    구버전에 사용하던 문자열 포매팅 방법을 알아보겠다. 일단 문자열 중간에 변숫값을 삽입하려면 포맷 코드를 알고 있어야 한다. 변숫값이 숫자면 %d, 문자열이면 %s 포맷 코드를 변숫값이 들어가는 위치에 삽입하는 식이다.

    정수를 문자열에 삽입하려면, 변수 age에 23을 대입하고, age 값이 삽입되어야 하는 문자열에 %d를 삽입하고 문자열이 끝나면 %에 어떤 값이 올지 지정해 주면 된다. % age라고 입력한다. 문자열에 문자열을 삽입하는 방법도 동일하지만 %d가 아닌 %s로 표기한다. 변수 gender에 “남성”을 대입하고 출력 문자열에 gender 값이 삽입되어야 하는 위치에 %s를 삽입하고, 문자열 끝에 % gender라고 입력한다.

    만약 2개 이상의 변수값을 넣고 싶다면 문자열이 끝난다음 % 다음 괄호에 ( ) 각각의 변수명을 콤마 , 로 구분해 입력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나이와 성별 변수를 둘 다 넣은 문자열을 출력하고 싶다면 문자열은 “내 나이는 %d이고 성별은 %s입니다.”로 입력하고, 문자열 끝에 변수명은 % ( age, gender )라고 입력하면 된다.


    파이썬 독학
    f 문자열 포매팅

    파이썬 f문자열 포매팅

    기존의 문자열 포매팅 방법은 크게 어렵진 않지만 정수와 실수, 문자열을 구분해서 포맷 코드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행히 3.6 버전부터 f 문자열 포매팅이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훨씬 이해하기 쉽게 문자열 포매팅을 할 수 있다. 방법은 위와 같이 문자열 앞에 f를 붙이고 변수가 들어가는 위치에 중괄호 { }를 사용해 변수 이름을 쓰면 된다.

    예를 들어 문자열에 나이를 변수로 사용하고 싶다면, 변수 age를 만들고 23을 대입한 다음 문자열을 f ” 내 나이는 { age }입니다.” 라고 작성하면 된다. 즉 변수의 값이 정수든 실수든, 문자열이든 2개든, 3개든 방법이 동일하기 때문에 포맷 코드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파이썬 독학
    소수점 표현하기

    파이썬 소수점 표현하기

    문자열 포매팅을 할 때 추가로 알아둬야 하는 것은 바로 소수점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만약 수학 30점, 영어 50점, 국어 60점의 점수를 받았다고 해보자. 평균 점수를 구하려면 점수를 다 더하고 3으로 나누면 된다. 변수 average를 만들어 이를 대입한다.

    구버전 기준으로 출력할 때 포맷 코드로 %d를 입력하면 평균 점수는 46점만 출력하게 된다. 왜냐하면 %d는 정수를 삽입하는 코드이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실수를 삽입하는 %f를 넣으면 평균 점수가 46,666667점이 나온다. 소수점은 기본적으로 6자리가 표현된다. 따라서 소수점 자릿수를 컨트롤해야 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소수점 2자리만 표현하고 싶으면 %.2f라고 입력하면 된다. 소수점 4자리만 표현하고 싶으면 %.4f라고 입력하면 된다.

    파이썬 소수점 표현하기

    이번엔 f 문자열 포매팅에서 소수점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위와 같이 변수 average를 특별한 통제 없이 f 문자열 포매팅시키면 소수점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나온다. 소수점을 컨트롤하고 싶다면 중괄호 변수 이름 뒤에 콜론 : 으로 구분한 다음 원하는 소수점 자리수와 f를 입력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 소수점 2자리만 표현하고 싶다면 위와 같이 { 변수 : 0.2f } 라고 입력하면 된다. 참고로 0은 생략해도 된다.


    추천 포스트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링크: https://k-man.kr/2356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 연산
    링크: https://k-man.kr/2318

  • 파이썬 기초 공부 04.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파이썬 기초 공부 04.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파이썬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파이썬 기초 공부 04.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지난 포스트에 이어 계속해서 문자열 자료형에 대해 배우겠다. 이 포스트에서 배울 내용은 문자열 자료형의 인덱싱과 슬라이싱에 대해서다.


    파이썬 기초
    문자열 인덱싱

    파이썬 문자열 인덱스

    인덱스란 자료를 구성하는 요소의 위치값을 의미한다. 문자열 자료형에서는 문자열을 구성하는 문자는 고유의 위치값을 인덱스라고 한다. 문자는 2가지 인덱스 값을 가지고 있는데 왼쪽부터 0으로 시작하는 정방향 인덱스 값과, 오른쪽부터 -1로 시작하는 역방향 인덱스 값이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Just do it’이라는 문자열의 경우 정방향은 왼쪽부터 J는 0, u는 1, s는 2 …로 시작해 t는 9로 끝난다. 띄어쓰기도 문자로 포함된다. 역방향으로는 오른쪽부터 t는 -1, i는 -2, …로 시작해 J는 -10으로 끝난다.

    문자열 인덱싱

    인덱싱은 특정 인덱스의 값만 뽑아내는 작업을 말한다. 대괄호 [ ] 안에 인덱스 값을 입력하면 해당 변수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변수 nike에 “Just do it”이라는 문자열 자료를 대입한 경우, 변수 nike[ 3 ]으로 인덱싱하면 “Just do it”에서 인덱스 3에 해당하는 ‘t’를 보여준다. 왜 ‘s’가 아니라 ‘t’냐면 0부터 숫자를 세기 때문이다. 역방향으로 인덱싱할 수도 있다. 변수 nike[ -2 ]를 입력하면 끝에서 두 번째에 있는 ‘i’를 보여준다.


    파이썬 기초
    문자열 슬라이싱

    뮨자열 슬라이싱

    슬라이싱은 자른다는 의미로, 지정한 인덱스에서 인덱스 사이의 값을 뽑아내는 작업을 말한다. 슬라이싱 방법은 대괄호 [ ] 안에 콜론 : 으로 시작 번호와 끝 번호 인덱스를 입력하면 된다. 참고로 끝 번호에 해당하는 인덱스는 뽑아지지 않으므로 항상 +1을 더해야 한다.

    “Just do it” 문자열 자료가 대입된 변수 nike가 있을 경우 ‘Just’만 뽑아내고 싶다면 nike[ 0 : 4 ]라고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인덱스 0번부터 3번까지의 값 ‘Just’가 뽑아진다. 다시 말하지만 끝 번호는 뽑히지 않으므로 0번부터 3번까지 뽑고 싶으면 [ 0 : 4 ]라고 입력해야 한다. 시작에 인덱스 값을 생략하면 ‘처음부터’란 의미가 된다. 그래서 nike[ : 4 ]이라고 입력해도 동일한 결괏값을 얻을 수 있다. 반면 끝 인덱스 값을 생략하면 ‘마지막’까지란 의미가 된다. nike[ 5: ]라고 입력하면 5번 인덱스인 d부터 마지막까지가 뽑아져 나와 ‘do it’이란 결괏값을 얻을 수 있다.

    문자열 슬라이싱

    역방향 인덱스로부터 슬라이싱할 수도 있다. 물론 먼저 나오는 문자가 시작 번호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do it’을 뽑아내고 싶다면 nike[ -5 : ]라고 입력해야 한다. [ -5 : -1 ]이라고 입력하면 끝 번호 인덱스는 뽑아지지 않으므로 ‘do i’만 뽑아진다.


    파이썬 기초
    인덱스 함수

    인덱스 함수

    마지막으로 인덱스 값을 알려주는 index 함수를 배우겠다. index 함수는 괄호 ( ) 안에 입력한 문자가 처음 나온 위치를 알려주는 함수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nike 변수에 “Just do it”이 대입되어 있는 경우, nike.index( ‘d’ )라고 입력하면 d의 인덱스 값인 5를 알려준다. 문자열이 길 때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만약 존재하지 않는 문자를 입력하면 위와 같이 오류가 뜬다는 점 참고하길 바란다.


    추천 포스트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과 연산
    링크: https://k-man.kr/2318

    숫자 자료형과 산술 연산자
    링크: https://k-man.kr/2273

  • 파이썬 공부 03.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의 연산

    파이썬 공부 03.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의 연산

    파이썬 공부 문자열 자료형

    파이썬 공부 03.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의 연산. 지난 포스트에서 배운 숫자형 자료와 산술 연산자에 이어 이 포스트에서는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의 연산에 대해 공부해 보겠다. 문자열부터는 공부해야 할 내용이 많으므로 2~3차례 걸쳐 나눠 포스팅하겠다.


    파이썬 공부
    문자열 자료형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의 사용

    문자열 자료형은 문자로 인식하는 자료다.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양쪽을 둘러싸면 컴퓨터는 문자로 인식한다. 문자열 자료를 입력하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다.

    1) 큰따옴표로 감싸기: 예 “hello”
    2) 작은따옴표로 감싸기: 예 ‘hello’
    3) 큰따옴표 3개로 감싸기: 예 “””hello”””
    4) 작은따옴표 3개로 감싸기: 예 ”’hello”’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

    왜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 둘 다 사용해 문자를 나타내는지 궁금할 것이다. 큰따옴표든 작은따옴표든 하나만 사용하게 되면 실제 문자에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를 포함해야 하는 경우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만약 문자에 작은따옴표를 포함시켜야 할 경우 문자 양쪽을 큰따옴표로 감싸주면 된다. 반대로 문자에 큰따옴표를 포함시켜야 할 경우 문자 양쪽을 작은따옴표로 감싸주면 된다. 위 이미지의 코드를 참고하면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될 것이다.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를 3개 쓰는 이유는 줄바꿈을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파이썬은 한 줄에 코드 입력을 끝내야 되지만 여러 줄로 문자열을 입력하고 싶을 수도 있다. 이때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 3개을 사용하고 ENTER를 눌렀을 때 줄바꿈을 할 수 있다.

    첫줄에 큰따옴표 3개 “””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프롬프트가 >>> 에서 · · · 로 바뀌는데 · · · 는 코드를 이어서 작성하는 중이라는 의미다.


    파이썬 공부
    문자열 연산하기

    문자열 자료는 숫자가 아니지만 연산은 가능하다. 단 문자와 문자만 연산할 수 있으며, 더하기와 곱하기만 가능하다.

    파이썬 문자열 자료 더하기 연산

    먼저 문자열 더하기 연산부터 해보겠다. 위 이미지의 코드와 같이 변수 one을 만들고 “‘hello’”를 대입한다. 그리고 변수 two를 만들고 “라고 말해!”를 대입한다. 변수 one 더하기 + 변수 two 결과는 두 문자열이 합쳐진 “‘hello’라고 말해!”다.

    파이썬 문자열 곱하기 연산

    이번엔 문자열 곱하기 연산을 해보겠다. 변수 a를 만들고 “‘python’”을 대입한다. 그다음 변수 a에 5를 곱한다. 그러면 문자가 5번 반복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곱하기 연산은 위 이미지와 같이 선으로 구분해야 할 일이 있을 때 문자 ‘-‘나 ‘=’를 여러 번 곱해서 표현하는 것이 아무래도 훨씬 편하다.


    추천 포스트

    파이썬 정수형 실수형 자료와 산술 연산자
    링크: https://k-man.kr/2273

    파이썬 독학을 위한 기본 개념과 용어 정리
    링크: https://k-man.kr/파이썬-기초-독학-개념-용어-정리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