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문자열 연산

  • 파이썬 공부 03.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의 연산

    파이썬 공부 03.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의 연산

    파이썬 공부 문자열 자료형

    파이썬 공부 03.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의 연산. 지난 포스트에서 배운 숫자형 자료와 산술 연산자에 이어 이 포스트에서는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의 연산에 대해 공부해 보겠다. 문자열부터는 공부해야 할 내용이 많으므로 2~3차례 걸쳐 나눠 포스팅하겠다.


    파이썬 공부
    문자열 자료형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의 사용

    문자열 자료형은 문자로 인식하는 자료다.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양쪽을 둘러싸면 컴퓨터는 문자로 인식한다. 문자열 자료를 입력하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다.

    1) 큰따옴표로 감싸기: 예 “hello”
    2) 작은따옴표로 감싸기: 예 ‘hello’
    3) 큰따옴표 3개로 감싸기: 예 “””hello”””
    4) 작은따옴표 3개로 감싸기: 예 ”’hello”’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

    왜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 둘 다 사용해 문자를 나타내는지 궁금할 것이다. 큰따옴표든 작은따옴표든 하나만 사용하게 되면 실제 문자에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를 포함해야 하는 경우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만약 문자에 작은따옴표를 포함시켜야 할 경우 문자 양쪽을 큰따옴표로 감싸주면 된다. 반대로 문자에 큰따옴표를 포함시켜야 할 경우 문자 양쪽을 작은따옴표로 감싸주면 된다. 위 이미지의 코드를 참고하면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될 것이다.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를 3개 쓰는 이유는 줄바꿈을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파이썬은 한 줄에 코드 입력을 끝내야 되지만 여러 줄로 문자열을 입력하고 싶을 수도 있다. 이때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 3개을 사용하고 ENTER를 눌렀을 때 줄바꿈을 할 수 있다.

    첫줄에 큰따옴표 3개 “””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프롬프트가 >>> 에서 · · · 로 바뀌는데 · · · 는 코드를 이어서 작성하는 중이라는 의미다.


    파이썬 공부
    문자열 연산하기

    문자열 자료는 숫자가 아니지만 연산은 가능하다. 단 문자와 문자만 연산할 수 있으며, 더하기와 곱하기만 가능하다.

    파이썬 문자열 자료 더하기 연산

    먼저 문자열 더하기 연산부터 해보겠다. 위 이미지의 코드와 같이 변수 one을 만들고 “‘hello’”를 대입한다. 그리고 변수 two를 만들고 “라고 말해!”를 대입한다. 변수 one 더하기 + 변수 two 결과는 두 문자열이 합쳐진 “‘hello’라고 말해!”다.

    파이썬 문자열 곱하기 연산

    이번엔 문자열 곱하기 연산을 해보겠다. 변수 a를 만들고 “‘python’”을 대입한다. 그다음 변수 a에 5를 곱한다. 그러면 문자가 5번 반복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곱하기 연산은 위 이미지와 같이 선으로 구분해야 할 일이 있을 때 문자 ‘-‘나 ‘=’를 여러 번 곱해서 표현하는 것이 아무래도 훨씬 편하다.


    추천 포스트

    파이썬 정수형 실수형 자료와 산술 연산자
    링크: https://k-man.kr/2273

    파이썬 독학을 위한 기본 개념과 용어 정리
    링크: https://k-man.kr/파이썬-기초-독학-개념-용어-정리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