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공부 14. if 중첩문과 elif 이해하기. 지난 포스트에서는 if 문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설명했다. 기본적인 문법은 if 조건이 참일 경우 if 조건: 아래에 있는 들여쓰기 코드를 실행하고 if 조건이 거짓일 경우 else: 아래에 있는 들여쓰기 코드를 실행한다. 그러나 세상에는 결과가 참과 거짓인 상황만 존재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if 문 안에 if 문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를 […]
파이썬 독학 공부 13. 조건문 if 문 문법 이해하기
파이썬 독학 공부 13. 조건문 if 문 문법 이해하기. 드디어 자료형은 공부가 끝났다. 이제부터는 파이썬에서는 프로그램을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문을 배울 예정인데, 제어문은 대표적으로 조건문인 if 문과 반복문인 while 문, for 문으로 나누어진다. 이 포스트에서 가장 이해하고 사용하기 쉬운 if 문을 배워보도록 하겠다. 파이썬 독학 공부조건문 if 이해하기 if 문은 조건이 참인 경우에 아래에 […]
파이썬 강의 12. 불 자료형과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파이썬 강의 12. 불 자료형 이해하기. 불(bool) 자료형은 참(True)과 거짓(False) 두 개의 값을 가지는 자료형으로 조건문이나 반복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야 한다. 불 자료형은 일종의 결괏값이므로 불 자료형을 이해하기 위해는 관계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를 같이 이해해야 한다. 불 자료형과 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는 두 개의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며 그 결괏값을 참과 […]
파이썬 기초 11.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기초 11. 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딕셔너리 자료형이란 리스트와 튜플과 마찬가지로 여러 값의 묶음을 나타내는 자료형이지만, 값에 접근할 때 인덱스가 아닌 지정한 키로 접근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값을 입력할 때 순서에서 자유롭다. 파이썬 기초딕셔너리 자료형 이해하기 변수명 = { 키1: 값1, 키2: 값2 … } 딕셔너리 자료형은 중괄호 { }를 사용하며 키와 값을 한 쌍으로 […]
파이썬 공부 10.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파이썬 공부 10. 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튜플은 여러 값들의 묶음을 나타내는 자료형으로 리스트 자료형과 형태는 동일하기 때문에 리스트 자료형을 잘 이해했다면 쉬운 녀석이다. 하지만 리스트 자료형과 달리 한 번 생성되면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점이 특징이 있다. 파이썬 공부튜플 자료형 이해하기 튜플 자료형은 리스트 자료형과 달리 소괄호 ( )를 사용해 정의하며 값들은 쉼표 , 로 […]
파이썬 독학 09. 리스트 자료형 연산하기 len() 함수
리스트 자료형의 연산은 문자열과 큰 차이는 없기 때문에 그닥 어렵지도 않고 크게 많이 사용되는 것 같지도 않다. 그보다는 리스트 자료형의 요소수를 구하는 len( ) 함수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이 포스트에서 공부하도록 하겠다.
파이썬 기초 강의 08. 리스트 자료형 요소 수정, 삭제, 추가, 삽입하기
리스트 자료형은 여러 숫자나 문자열이 모인 자료다.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만 수정하고 싶을 때 일반적인 대입 방법을 사용하면 다른 자료형으로 대체가 되므로, 리스트에 포함된 요소 중 하나의 요소만 수정하거나 삭제, 추가,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IB 무한매수법 수익 공개(2023.02)
2023년 02월 IB(무한매수법, Infinite Buying) 수익 공개. IB 투자는 꽤 매일매일 매수 주문을 넣어야 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귀찮은 매매법이지만 나름 하루만 빼놓고 매일 매수하고 있다.
강력맨 주식 투자 성과 보고서(2023.02)
2023년 02월 강력맨 주식 투자 성과 보고서. 지난달에 이어 이달도 주식 투자 성과를 공개한다. 지난달에는 꽤 짭짤했는데 말부터 천천히 하락 횡보를 하다 보니, 수익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난달에 비해선 좋지 않다. 하지만 이달보다는 다음 달 수익이 더 걱정이다.
카뱅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성과 보고서(2023.02)
2023년 02월 카뱅 26주 적금 풍차 돌리기 보고서. 첫 달에는 소액을 매주 입금해야 하기 때문에 귀찮게 생각했지만, BUT! 하다 보니 나름 재미가 있다. 목표 달성하고 싶은 욕구가 막 치솟아 올라! 저축이 이렇게 재미있을 줄이야.